about exhibition < 김창열 회고전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김창열 작가 활동 관련 영상 상영 중 직접 촬영

김창열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기간: 2025년 8월 22일 ~ 12월 21일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1층 6,7 전시실 / 2층 8전시실
관람료: 2,000원
주최/후원: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소개

이번 ≪김창열≫ 전시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김창열(1929–2021)의 예술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하는 대규모 회고전입니다.
작가는 1950년대 앵포르멜 운동을 주도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고, 뉴욕과 파리에서의 활동을 거치며 독창적인 조형 언어인 ‘물방울 회화’를 완성했습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전쟁과 분단, 산업화와 도시화 속에서 형성된 상흔의 기억을 예술로 승화시킨 결과물입니다. 이번 전시는 공개된 적 없던 뉴욕 시기의 작품과 기록 자료를 포함하여, 김창열의 창작 여정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1. 앵포르멜과 ‘상흔’의 회화

김창열은 해방과 분단, 전쟁의 격동기를 지나며 삶과 죽음의 문제를 깊이 내면화했습니다. 1950년대 앵포르멜 운동을 이끌며 전쟁의 흔적을 화면 위에 각인시키듯 거칠고 어두운 회화를 선보였습니다. 작품에는 ‘제사’라는 제목이 자주 붙었는데, 이는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죽음을 위무하는 제의적 성격을 띠고 있었습니다.


엥포르멜 작품이 모여 있던 전시실은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마주하게 했습니다. 캔버스 위에 새겨진 상처 같은 흔적 앞에 서자, 그 시대를 살아낸 예술가들의 마음이 얼마나 무거웠을지 숙연해졌습니다.

2. 뉴욕 시기와 기하학적 탐구

1965년 김창열은 뉴욕에 머물며 새로운 회화적 전환기를 맞이했습니다. 앵포르멜의 질감을 벗어나 기하학적 형태와 그래픽적인 구성, 스프레이와 스텐실 기법을 실험하며 새로운 언어를 탐구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소외감과 정체성의 위기를 깊이 경험한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뉴욕 시기의 작품들은 전쟁의 흔적을 담은 초기와는 달리 차갑고 날카로운 기하학적 형상들이 중심을 이루었습니다. 정육면체나 삼각형의 형태들이 화면을 채우며, 옵아트를 연상시키는 날 선 긴장감을 전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작가가 세계 속에서 자기 예술의 방향성을 모색하던 치열한 고민이 느껴졌습니다.

3. 파리와 ‘물방울’의 탄생

1970년대 파리에서 마침내 등장한 ‘물방울’은 김창열의 예술세계를 대표하는 상징적 기호가 되었습니다. 물방울은 단순한 자연의 이미지가 아니라, 전쟁의 참상과 인간 존재의 근원적 슬픔, 정화와 치유를 담아내는 독창적인 조형 언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시 후반부에서 마주한 대형의 물방울 연작들은 압도적인 울림을 주었습니다. 투명하게 맺혀 흘러내리는 물방울들은 마치 눈물 같기도, 땀방울 같기도 했습니다. 반복과 집요함으로 그려낸 물방울 속에는 작가가 평생 붙잡았던 주제와 사유가 담겨 있었고, 그것은 보는 이에게 마치 오랜 수련을 통해 전해지는 가르침처럼 다가왔습니다.

4. 인간 김창열, ‘무슈 구뜨’

작가는 파리에서 ‘물방울 씨’라는 별칭을 얻으며 동료 예술가들과 교류했습니다. 이번 전시의 마지막 전시실은 물방울 회화 너머의 인간 김창열을 보여주는 기록과 일화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쟁을 살아남은 자로서의 무거운 책임감, 동시에 인간적인 따뜻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공간과 만나는 작품

이번 전시의 인상적인 점은 물방울 작품이 단순히 평면적인 이미지로만 다가오지 않고, 전시장이라는 공간과 어우러지며 또 다른 울림을 만든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용히 걸음을 옮기는 동안 관람자의 호흡과 시선이 작품 속 물방울과 겹쳐져, 마치 기억 속 한 장면을 들춰내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특히 큰 스케일의 작품 앞에서는 물방울이 단순한 회화적 장치가 아니라, 관람자를 둘러싼 환경 자체로 확장되는 듯한 감각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무리하며

김창열의 물방울은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지워지지 않는 기억이자, 사라지면서도 남는 시간의 흔적이었습니다.

전시를 보며 한동안 제 안의 기억과 감정을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간직하고 있는 기억은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요? 그리고 그 기억을 바라보는 당신의 시선은 지금 어떤 빛을 머금고 있나요?


김창열 회고전 전시장 전경 / 직접 촬영
 

Kim Tschang-Yeul Retrospective – MMCA Seoul

Period: August 22 – December 21, 2025
Venue: MMCA Seoul, Galleries 6 & 7 (B1), Gallery 8 (2F)
Admission: 2,000 KRW
Organizer/Sponsor: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Exhibition Introduction

The exhibition Kim Tschang-Yeul is a large-scale retrospective that comprehensively illuminates the artistic world of Kim Tschang-Yeul (1929–2021),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1950s, Kim played a leading role in Korea’s Art Informel movement, opening new possibilities for contemporary painting. Later, through his time in New York and Paris, he established his signature visual language: the “water drop painting.”

His oeuvre can be seen as the sublimation of wounds and scars born from war, divis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is retrospective offers a rare opportunity to trace his creative journey, including works and archival materials from his New York period that have never been shown to the public.

1. Informel and the Paintings of “Scars”

Having lived through liberation, division, and the turbulence of war, Kim deeply internalized questions of life and death. Leading the Informel movement in the 1950s, he produced dark and rough canvases that inscribed the traces of war. Many works bore the title Rites (Jesa), carrying a ritualistic character of mourning and consoling the dead.

The gallery dedicated to his Informel works conveyed a heavy, solemn atmosphere. Standing before canvases marked with scar-like traces, one could sense the profound weight carried by artists of that time.

2. The New York Period and Geometric Explorations

In 1965, Kim moved to New York, where his art entered a new transitional phase. Moving away from the textures of Informel, he began experimenting with geometric forms, graphic compositions, and techniques using spray and stencil. At the same time, he wrestled with feelings of isolation and questions of identity.

Unlike his early works scarred by war, the New York pieces are dominated by cold and sharp geometric shapes—cubes, triangles, and optical patterns—that fill the canvas with tension reminiscent of Op Art. This section reveals the artist’s intense struggle to define the direction of his art within a global context.

3. Paris and the Birth of the “Water Drop”

It was in Paris during the 1970s that the iconic “water drop” emerged, becoming the most emblematic motif of Kim’s career. These drops were not mere representations of nature but a unique visual language embodying the horrors of war, the fundamental sorrow of human existence, and the notions of purification and healing.

The monumental water drop series shown in the latter part of the exhibition was profoundly moving. The transparent drops, poised as if about to fall, resembled both tears and beads of sweat. Through repetition and persistence, Kim captured the lifelong themes that preoccupied him, and his works resonate like a lesson transmitted through long meditation and practice.

4. Kim Tschang-Yeul the Human, “Monsieur Goutte”

In Paris, Kim was affectionately nicknamed “Mr. Drop” by fellow artists. The final gallery of the exhibition presents anecdotes and archival materials that reveal the man beyond the paintings. Here, one encounters not only his sense of heavy responsibility as a survivor of war but also his warm and human side.

Works Intertwined with Space

One of the most striking aspects of the exhibition is how Kim’s water drop paintings transcend the flat surface and resonate with the exhibition space itself. As visitors move quietly through the galleries, their own breath and gaze seem to overlap with the drops, evoking the sensation of revisiting fragments of memory.

Standing before large-scale canvases, the water drops expand beyond painterly devices and become part of the viewer’s surrounding environment, amplifying their immersive power.

In Conclusion

Kim Tschang-Yeul’s water drops hold meanings far beyond visual beauty. They are indelible memories and traces of time—erased yet persisting.

This exhibition led me to reflect on my own memories and emotions. What form do the memories you hold take? And when you gaze upon them, what kind of light do they carry for you?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