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보로프스키 '노래하는 사람' (1994) @ MMCA 과천 / 직접 촬영
과천, 광화문에서 만난 조나단 보로프스키 — 노래하는 사람과 망치질하는 사람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의 야외 조각공원에서 울려 퍼지는 노래와, 광화문 부근에서 묵묵히 망치질을 반복하는 조각. 조나단 보로프스키의 두 작품을 통해 시간과 움직임, 그리고 일상의 리듬을 마주한 경험을 전합니다.
소리를 따라가 만난 조각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야외 조각공원을 걷다 보면, 예상치 못한 순간에 음악이 들려옵니다. 처음엔 어디서 버스킹을 하는지 궁금해 고개를 돌리게 되고, 그 소리를 따라가다 보면 마침내 한 인물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로 조나단 보로프스키(Jonathan Borofsky)의 작품, 노래하는 사람(1994)입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조각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 소리를 아우르는 환경조각으로서 조각공원 전체를 감싸는 울림이 특징입니다.
조나단 보로프스키(1942~)는 미국의 현대미술가로, 미니멀 아트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개인의 몽상과 인간의 노동을 창조적 에너지의 원천으로 여기며, 이를 설치와 조각, 환경작업에 녹여냅니다.
<노래하는 사람>은 1994년 시카고 아트 페어(Chicago Art Fair)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으로, 보로프스키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실물 크기의 인물이 입을 열고 천천히 턱을 움직이며 노래를 부르는 모습이 특정 시간마다 스피커를 통해 울려 퍼집니다. 그 순간 관람객은 시각뿐 아니라 청각으로도 작품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작가가 의도한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분명히 드러냅니다.
또 다른 만남 — 광화문의 망치질하는 사람
이 작품이 어딘가 익숙하게 느껴진다면, 광화문 부근에서 보셨을 <망치질하는 사람(Hammering Man)>을 떠올리셨을지도 모릅니다. 이 조각은 토요일·일요일·법정 공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아침 8시부터 저녁 7시까지(겨울철에는 저녁 6시까지) 35초마다 한 번씩 망치질을 합니다. 비가 오든 눈이 오든 멈추지 않는 그 움직임은 꾸준함의 상징처럼 보입니다.
저는 늘 차로 스쳐 지나가기만 했기에 사진으로만 기록해 두었지만, 이번 글을 정리하면서 다음번에는 도보로 찾아가 천천히 감상해보리라 마음먹었습니다. 도심의 리듬 속에서 반복되는 동작을 직접 마주하면, 작품이 주는 메시지가 더 깊게 다가올 것입니다.
감상 포인트
- 청각과 시각의 결합: 조각을 보는 경험에 '듣는' 요소가 더해져 감상 방식이 확장됩니다.
- 환경과의 통합: 야외 공간과 작품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장소 고유의 분위기를 만듭니다.
- 시간성과 꾸준함: 노래와 망치질 모두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의미를 갖습니다. 우연한 만남과 반복되는 리듬이 관람의 키워드입니다.
결론 — 당신에게도 들려오는 노래와 리듬
조나단 보로프스키의 작업은 단순한 형태를 넘어 움직임과 시간, 소리를 통해 관람자와 소통합니다. 과천에서는 노래가 조각공원을 가득 채우고, 광화문에서는 망치질의 리듬이 거리의 시간과 맞물립니다. 그 안에서 잠시 발걸음을 멈추면, 작품이 전하는 작지만 분명한 메시지를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당신이라면 이 노래와 리듬을 듣고 어떤 장면을 떠올리시겠습니까?
The Singing Man at MMCA Gwacheon — Jonathan Borofsky
Music echoing through an outdoor sculpture park, and a hammer that never stops in central Seoul. This post introduces two emblematic works by Jonathan Borofsky and reflects on how time and movement shape our encounter with public art.
Introduction — Following the sound through the sculpture park
While walking through the outdoor sculpture park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in Gwacheon, you may suddenly hear music floating in the air. At first you might think there is a street performer nearby; if curiosity leads you to follow the sound, you will eventually meet a life-sized figure — Singing Man (1994) by Jonathan Borofsky. The work functions as an environmental piece that unites time, space, and sound, and its presence fills the park.
About the artist and the work
Jonathan Borofsky (b. 1942) is an American contemporary artist who, while influenced by Minimal Art, developed a distinctive personal language. He treats personal imagination and human labor as sources of creative energy and explores these themes in sculptures, installations, and environmental works.
Singing Man was created in 1994 to commemorate the Chicago Art Fair and stands among Borofsky’s representative works. The life-sized figure opens its mouth and slowly moves its jaw while singing; at specific times, the song is broadcast through built-in speakers. The result is an experience that feels like a live performance — visitors engage with the piece both visually and aurally, which exemplifies Borofsky’s interest in how people interact with space.
A familiar sight — Hammering Man in Seoul
If the Singing Man feels familiar, you may have also seen Jonathan Borofsky’s Hammering Man near Gwanghwamun in central Seoul. This kinetic sculpture hammers once every 35 seconds from 8 a.m. to 7 p.m. daily (6 p.m. during winter), excluding Saturdays, Sundays, and public holidays. Rain or snow, the hammer keeps moving — a quiet symbol of perseverance.
I have often driven past the sculpture without the chance to stop, recording only a photograph. Preparing this post made me decide that next time I will pause and walk over to experience it slowly. Standing near the repeated motion, the work’s message becomes more palpable.
Key points to notice
- Sight and sound combined: The works expand sculpture beyond visual form into time-based, auditory experience.
- Integration with the environment: Both pieces blend with their surroundings and shape the atmosphere of their places.
- The role of time: Singing and hammering happen within schedules — the element of timing brings serendipity and rhythm to encounters.
Conclusion — A song and a rhythm that find you
Jonathan Borofsky’s works move beyond static objects; they communicate through movement, sound, and time. At MMCA Gwacheon the singing fills the sculpture park, while in the city the hammering connects with Seoul’s tempo. If you visit these sites, take your time and listen — the works may surprise you with what they reveal.
When you hear the song or feel the rhythm, what scene comes to mind?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