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 카와라, 1981년7월8일 |
리움미술관 M2, 소장품을 다시 꺼내다
– 현대미술 소장품전 관람기 (2025.02.27 –)
리움미술관 M2에서 현대미술 소장품전이 진행 중입니다.
2025년 삼성문화재단 창립 60주년을 맞아, 리움은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소장품들과 최근 새롭게 수집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전시를 구성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연대기적 흐름이나 주제별 구성 대신, 작품 간의 시각적 또는 개념적 병치를 통해 관람자가 직접 관계를 발견하도록 유도합니다. 익숙한 대표작보다는 낯선 시선과 질문을 던지는 작품들이 중심이 되어, 리움이라는 공간 안에서 다시 한번 ‘현대미술의 흐름’을 곱씹게 하는 전시였습니다.
기억에 남는 몇 개의 장면들
1. 오귀스트 로댕, 칼레의 시민
(The Burghers of Calais, 1884–1889)
프랑스 항구 도시 칼레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내놓은 여섯 시민 영웅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이 작품은, 인간의 고통과 희생, 그리고 복합적인 감정의 결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걸작입니다.
전 세계에 단 12점만 존재하는 오리지널 에디션 중 하나로, 삼성미술관 플라토(구 로댕갤러리)에 상설 전시되다가 2016년 폐관 이후 수장고에 머물러 있던 작품이 이번 전시에서 다시 공개되었습니다.
전시장 입구를 지키듯 자리한 이 조각은, 단지 유명세 때문만이 아니라 그 자체의 무게감으로 시선을 머물게 했습니다.
2. 로니 혼, 당신은 날씨다 2
(You are the Weather, 2)
가장 오래 머문 공간은 어쩌면 이 작은 방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여성의 얼굴을 가득 채운 사진들이 연속적으로 걸려 있는 이 설치는, 언뜻 보면 모두 같아 보이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정을 담고 있습니다.
날씨에 따라, 순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표정은 너무나 당연하면서도, 계속 들여다보게 만드는 힘이 있었고, 그 안에서 나 자신의 감정도 함께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3. 온 카와라, 1981년 7월 8일
날짜만 적힌 검은 캔버스.
단순해 보이지만, 이 작품 하나에 담긴 시간과 규칙, 그리고 작가의 존재 인식은 매우 강렬합니다.
온 카와라는 1966년부터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약 30여 년 동안 매일 날짜를 그리는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하루에 한 점만 제작하며, 밤 12시를 넘기면 그날의 작품은 만들지 않았습니다.
그날의 날짜만을 정해진 서체로 적은 뒤, 제작 도시의 언어로만 표기했고, 작품 뒤에는 신문 조각과 작업 일지를 함께 보관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한 기록이라기보다는, 매일의 존재를 새기는 행위이자 반복의 제의처럼 느껴졌습니다.
작가는 말 대신 “나는 살아 있다(I am still alive)”는 메시지를 엽서로 보내며 자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했고, 이 같은 작업은 시간 그 자체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1981년 7월 8일〉은 그 중 하루의 기록입니다.
만약 이 작품을 온 카와라의 방식과 철학을 모른 채 마주했다면, 단순한 숫자와 색으로만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알고 나면, 이 하나의 날짜가 가지는 무게는 더 깊어지고, 마치 ‘조용한 생존의 증명서’처럼 다가옵니다.
사유의 공간으로서의 리움
이번 전시는 단순히 작품을 ‘보는’ 경험을 넘어, 공간 자체가 예술을 감싸는 방식도 인상 깊었습니다.
작품 수가 많음에도 관람 동선과 시선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설계되었고, 전시 전체가 조용히 말을 걸듯 다가왔습니다.
전시 정보
-
전시명: 리움미술관 현대미술 소장품
-
장소: 리움미술관 M2
-
기간: 2025.02.27 – (상설 예정)
-
관람 팁: 사전 예약 필수. 조용히 오래 머물 수 있는 공간이 많으니 여유롭게 방문 추천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한동안 전시장에서 ‘정지된 감정’을 느껴본 적 없는 분
-
작품보다 작가의 태도에 더 끌리는 분
-
익숙한 리움이 아닌, 처음 만나는 리움을 경험하고 싶은 분
![]() |
로니혼 당신은 날씨다,2부 Roni Horn You are the weather, Part 2. 2020 |
Leeum Museum of Art M2, Revisiting the Collection
– Exhibition Review: Contemporary Art Collection (From February 27, 2025 –)The Contemporary Art Collection exhibition is currently on view at Leeum Museum of Art’s M2 building.
In celeb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amsung Foundation of Culture in 2025, Leeum has curated this exhibition focusing on artworks that had previously been kept from public view as well as newly acquired pieces.
Rather than organizing the show chronologically or by theme, the exhibition encourages viewers to discover relationships between works through visual or conceptual juxtapositions. Centered on unfamiliar perspectives and questions rather than well-known masterpieces, this exhibition invites visitors to reconsider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within the unique space of Leeum.
Memorable Scenes
1. Auguste Rodin, The Burghers of Calais (1884–1889)
This masterpiece was created to honor six heroic citizens who sacrificed their lives to save the French port city of Calais. It powerfully captures the complex emotions of human suffering and sacrifice.
One of only twelve original editions worldwide, this sculpture was permanently displayed at Samsung Museum of Art Plato (formerly the Rodin Gallery) until its closure in 2016, after which it was stored away until its reappearance in this exhibition.
Positioned as if guarding the entrance, the sculpture draws the viewer’s gaze—not merely for its fame but for the profound weight it carries.
2. Roni Horn, You Are the Weather, 2
Perhaps the space where I lingered the longest was this small room.
This installation, filled with a series of photographs of a woman’s face, reveals subtle differences in expression.
Though at a glance the faces may appear the same, the slight shifts in expression depending on the weather and moment invite continuous observation. Within this, I felt my own emotions gently stirred and reflected.
3. On Kawara, July 8, 1981
A black canvas with only a date inscribed.
Simple at first sight, this work contains powerful layers of time, rule, and the artist’s consciousness of existence.
From 1966 until his passing, On Kawara committed to painting the date every day for about thirty years.
He created only one work per day, never continuing beyond midnight.
The date was written in a specific typeface and always in the language of the city where the work was made. Accompanying each painting were clippings of local newspapers and the artist’s record logs, kept on the back.
This practice felt less like a mere record and more like a ritual engraving of daily existence, a repeated rite.
Instead of words, the artist sent postcards declaring “I am still alive,” affirming his presence. His work became a form of dialogue with time itself.
The July 8, 1981 piece on view is one day’s record.
Without knowing On Kawara’s philosophy and method, this might appear as just a combination of numbers and color. But with context, the weight of that single date deepens, becoming almost like a quiet certificate of survival.
Leeum as a Space for Reflection
This exhibition was impressive not only as a ‘viewing’ experience but also in how the space itself embraced the artworks.
Despite the number of works on display, the flow of movement and sightlines felt natural, and the entire exhibition seemed to approach visitors with a quiet invitation to engage.
Exhibition Information
-
Title: Contemporary Art Collection, Leeum Museum of Art
-
Location: Leeum Museum of Art M2
-
Dates: February 27, 2025 – (Permanent exhibition planned)
-
Visitor Tips: Advance reservation required. Plenty of quiet spaces to linger, so visiting with ample time is recommended.
Recommended For
-
Those who haven’t experienced a ‘paused emotion’ in exhibitions for some time
-
Those drawn more to an artist’s attitude than to the artwork itself
-
Those seeking to experience Leeum from a fresh, unfamiliar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exhibition, where familiar names and new perspectives coexist, offers a quiet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flow of contemporary Korean ar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