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로드 모네 - 수련이 있는 연못 / 직접 촬영 @ MMCA 과천관 |
책으로 다시 만난 감동
『이건희 컬렉션』과 그때 그 전시의 기억
도서관에서 우연히 『이건희 컬렉션』이라는 책을 발견했습니다.
예전에 베스트셀러였던 기억이 있어 무심코 펼쳐보았는데, 생각보다 흥미롭게 읽혀 금세 책장을 넘기게 되었습니다.
2021년 4월 28일, 이건희 컬렉션 기증 소식이 발표된 날이 떠올랐습니다.
총 2만 3천여 점이라는 방대한 규모, 그리고 국내외 주요 작가들의 대표작이 포함됐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화제가 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클로드 모네, 폴 고갱, 살바도르 달리 같은 세계적인 작가들뿐 아니라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김환기, 유영국, 박수근, 나혜석, 이중섭, 장욱진 등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이 책은 크게 ‘한국 미술 명작’과 ‘해외 미술 명작’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작가별로 대표 작품과 해설, 배경이 정리되어 있어 전시 관람 전후로 읽기에 유용했습니다.
김환기, 유영국, 박수근, 나혜석, 이중섭, 장욱진, 김홍도, 정선 순서로 이어지는 작가 소개는 에센셜하게 구성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해외 작가 파트에서는 파블로 피카소, 마르크 샤갈, 클로드 모네, 오귀스트 르누아르, 호안 미로 등 익숙한 이름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의 대표작이 실제 국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게 다가왔습니다.
책을 읽으며 예전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관람했던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사진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전시장에 들어서자 모네의 <수련> 앞에 모여 있는 관람객들의 설레는 표정이 떠올랐습니다.
웃으며 작품을 배경으로 셀피를 찍는 사람들, 작품 앞에서 한참 머물다 나가는 사람들의 조심스러운 걸음에서도
그 순간이 얼마나 특별하게 다가왔는지 느껴졌습니다.
세계적인 작품들을 차로 조금만 이동하면 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문화적 혜택이 한 개인의 사적인 기증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이 깊은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문득, 과거 간송미술관이 대대적인 수리에 들어가기 전 잠시 개방되었을 때
힘들게 예약해 방문했던 기억도 떠올랐습니다.
전형필 선생님의 수집 정신과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사명감은
이건희 컬렉션이 보여주는 ‘문화적 노블레스 오블리주’와도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시절, 나였다면 나의 재산을 이런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었을까—스스로에게 조용히 질문을 던져보게 되었습니다.
최근 다녀온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도
상설 전시 안에 이건희 컬렉션으로 기증된 작품들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었습니다.
미국의 게티센터처럼, 개인의 컬렉션이 미래 세대에게 공유되는 미술관이
우리나라에도 생기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이제는 세계적인 작품들이 일상 속에서 감상 가능한 문화 콘텐츠가 되었다는 사실이 기쁘게 다가왔습니다.
앞으로도 다음 세대가 자연스럽게 좋은 작품을 접하고, 감동하고,
스스로의 시선을 확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문화는 소수의 것이 아니라 모두의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
이 책을 읽으며, 전시를 통해 느꼈던 감동과 그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됩니다.
![]() |
마르크 샤갈 - 붉은 꽃다발과 연인들 / 직접 촬영 @ MMCA 과천관 |
Rediscovering the Beauty of Art through a Book
The Lee Kun-hee Collection and My Memories of the Exhibition
While browsing the shelves at my local library, I came across a book titled The Lee Kun-hee Collection.
I remembered it being a bestseller some time ago and picked it up out of curiosity. To my surprise, I found myself quickly immersed, turning the pages with ease and growing interest.
It brought back memories of April 28, 2021, when the donation of the Lee Kun-hee Collection was first announced.
The sheer volume—over 23,000 works—and the inclusion of masterpieces by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made headlines across the country.
From world-renowned names like Claude Monet, Paul Gauguin, and Salvador Dalí,
to celebrated Korean artists such as Jeong Seon, Kim Hong-do, Kim Whanki, Yoo Youngkuk, Park Soo-keun, Na Hye-seok, Lee Jung-seop, and Jang Ucchin,
the collection’s breadth and significance were truly impressive.
The book categorizes the collection into two main sections: Korean Masterpieces and Western Masterpieces.
Each artist is introduced with background information and commentary on representative works, making it a great companion before or after visiting related exhibitions.
The Korean section presents essential figures like Kim Whanki, Yoo Youngkuk, Park Soo-keun, Na Hye-seok, Lee Jung-seop, Jang Ucchin, Kim Hong-do, and Jeong Seon in a clear and accessible format.
In the Western section, familiar names like Pablo Picasso, Marc Chagall, Claude Monet, Auguste Renoir, and Joan Miró appear—
and the realization that many of their iconic works are housed in Korean museums was both surprising and moving.
Reading the book inspired me to revisit old photos from my visit to the special Lee Kun-hee Collection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 clearly remember the excitement of visitors gathered around Monet’s Water Lilies,
the smiles of those taking selfies with the artwork, and the quiet, almost reverent pace of people walking away after lingering in front of it.
The atmosphere was filled with awe—perhaps because these were masterpieces we never imagined we could see so close to home.
The experience reminded me just how extraordinary it is to have access to these world-class works just a short drive away.
And it made me realize how much of this cultural privilege stems from one individual’s decision to share their private collection with the public.
It also brought to mind a visit I made to the Kansong Art Museum, just before it closed for major renovations.
I remember how difficult it was to reserve a spot, and how powerful it felt to witness the legacy of Jeon Hyung-pil, the museum’s founder.
His dedication to cultural preservation and his sense of duty to the nation mirrored the spirit of noble generosity—noblesse oblige—evident in the Lee Kun-hee Collection.
I couldn’t help but ask myself: would I have had the same courage and foresight to use my personal wealth this way?
More recently, I visited the MMCA Gwacheon and was pleased to see many works from the Lee Kun-hee Collection now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ir permanent exhibitions.
It reminded me of institutions like the Getty Center in the U.S., where private collections have become part of the nation’s public cultural legacy.
Seeing these masterpieces woven into our 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was incredibly heartening.
I hope future generations will continue to encounter great art in such accessible ways—
to feel inspired, to reflect, and to develop their own unique ways of seeing the world.
Culture should not belong to the few, but be shared by all.
Through this book, I was able to relive the emotional impact of the exhibition and reflect once again on the true meaning of cultural legac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