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exhibition <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1 MMCA collection: Korean Modern an Contemporary art 1>

 


《 한국근현대미술 Ⅰ》

  전시 정보

  • 기간: 2025.05.01 ~ 2027.06.27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3층, 5·6전시실

  • 관람료: 과천 전시관람권 3,000원

  • 출품작가: 정찬영, 김규진, 안중식, 장우성, 김기창, 박래현,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 오지호 등

  • 작품 수: 145점


작가의 시대를 통과하는 시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상설전시

서울관에서의 전시가 동시대적인 감각을 중심에 두고 있다면,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미술을 조망해볼 수 있는 구성으로 짜여 있습니다.
3층 전시실에서 진행 중인 《한국근현대미술 Ⅰ》은 20세기 전반, 격변의 시기를 지나온 예술가들의 흔적을 145점의 작품을 통해 들여다보는 전시입니다.

전시는 총 9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한제국부터 개화기, 일제강점기, 광복, 한국전쟁까지의 흐름을 따라가며 예술가들이 어떤 시선으로 시대를 통과했는지 조용히 보여줍니다.


1. 새로운 시선의 등장: 광학과 카메라, 근대적 지식체계와 미술

1800년대 말, 조선은 서양의 과학기술과 새로운 시각 문화를 받아들이며 급격한 변화의 문턱에 섰습니다. 사진술, 원근법, 구도 개념 등은 당시의 미술에 강한 자극을 주었고, 금녀의 영역이던 예술 교육이 여성에게도 열리기 시작합니다.
이 변화는 곧 전통적인 회화가 새롭게 질문을 던지게 만든 계기가 되었습니다.


2. 근대 서화의 모색

도화서가 폐지된 이후에도 전통 서화를 지키려는 노력은 이어졌습니다. 사회적 혼란 속에서도 붓을 든 이들은 자신이 받은 정신과 기법을 다음 세대로 이어가기 위해 고심합니다.
전통과 근대, 동양과 서양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 했던 그들의 고민이 화면 위에 고스란히 남아 있었습니다.


3. 미술/미술가 개념의 등장

‘화가’라는 개념이 생소하던 시절,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던 이들의 용기가 느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인상 깊었던 작품은 나혜석의〈화랑전작약>이었는데요, 얼마 전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작가를 이렇게 다시 만나니 반가웠고, 나혜석 작가의 눈과 마음을 통한 풍경이 더 깊게 다가왔습니다.


4. 오지호

이 전시에서 특별히 집중 조명된 작가 중 하나는 오지호입니다.
이번 관람을 통해 오지호가 나혜석의 전시를 보고 미술가의 길을 꿈꾸게 되었고, 고희동의 제자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그의 대표작 <남향집>은 어디선가 익숙하게 본 듯한 장면인데, 이렇게 작가 간의 교류와 영향을 통해 좋은 작업들이 이어졌다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5. 조선의 삶을 그리다

1930~40년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당대의 일상과 인물들을 담은 그림이 소개됩니다.
역사의 무게감 속에서도 삶은 계속되고 있었고, 그것을 그림으로 남기려는 시도가 따뜻하게 다가왔습니다.


6. 동행: 우향 박래현과 운보 김기창

부부이자 동료였던 두 작가의 전시를 당시에도 ‘부부전’으로 선보였다는 사실이 인상 깊었습니다.
전시된 작품 중 박래현의 <여인>은 뒷모습을 담은 초상인데, 포즈나 분위기가 요즘 그림처럼 세련된 느낌을 주었어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인물화에서 추상으로 작업 세계를 확장해나간 과정은 지금의 시선으로도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7. 폐허 위에서: 한국전쟁과 조형실험

이 파트부터는 마음이 조금 무거워졌습니다.
전쟁이라는 시대적 비극은 그림의 언어도 바꿔 놓았고, 화면 위에는 파편화된 구조, 텅 빈 거리, 그리고 침묵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그 와중에도 붓을 들고 조형의 실험을 이어간 작가들의 집념이 느껴졌습니다.


8. 가족을 그리며

전쟁 이후, 더는 거대한 서사를 말할 수 없었던 시대.
작가들은 가까운 존재인 ‘가족’을 주제로 삼아 다시 붓을 들었습니다.
조각과 회화 속 인물들의 표정은 설명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전해주고, 시대의 아픔과 함께 살아낸 그 시간들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9. 이중섭

마지막 전시실은 이중섭으로 마무리됩니다.
교과서나 다양한 매체에서 익숙했던 그림들도 많았지만,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아내에게 보낸 편지였습니다.
그림으로 마음을 전하는 그 글과 선은 세상에서 하나뿐인, 아주 깊은 사랑의 증표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림뿐만 아니라 글로도 마음을 남겼던 이중섭의 세계는, 문인으로서의 예술가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주는 순간이었습니다.


전시 정보

  • 기간: 2025.05.01 ~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3층, 5·6전시실

  • 관람료: 과천 전시관람권 3,000원

  • 출품작가: 정찬영, 김규진, 안중식, 장우성, 김기창, 박래현, 박수근, 이중섭, 장욱진, 오지호 등

  • 작품 수: 145점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미술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궁금하신 분

  • 나혜석, 오지호, 박래현, 이중섭 등 20세기 한국 미술가들의 대표작을 만나보고 싶으신 분

  • 조용히 천천히 감상하며 시대의 결을 느끼고 싶으신 분


한 줄 요약

질문이 많았던 시대, 그 질문을 끝까지 안고 간 예술가들의 흔적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Ⅰ

Exhibition Information
Period: May 1, 2025 – 
Venue: MMCA Gwacheon, 3rd floor, Exhibition Halls 5 and 6
Admission: Gwacheon Exhibition Ticket 3,000 KRW
Participating Artists: Jeong Chan-young, Kim Gyu-jin, An Jung-sik, Jang Woo-sung, Kim Ki-chang, Park Rae-hyun, Park Soo-keun, Lee Jung-seop, Jang Wook-jin, Oh Ji-ho, and more
Number of Works: 145


A Gaze That Passed Through Time

Permanent Exhibition at MMCA Gwacheon

While the Seoul branch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focuses more on contemporary sensibilities, the Gwacheon branch offers a chronological view of Korean art histor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Ⅰ》, currently being held on the 3rd floor of the museum, is an exhibition that presents 145 work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 time when Korean artists lived through a period of great turbulence and transformation.

The exhibition is composed of nine sections, following Korea’s modern history from the Daehan Empire through the Enlightenment period,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t quietly reveals how artists observed and endured their times through their work.


1. The Arrival of a New Gaze: Optics, Cameras, and Modern Knowledge Systems

In the late 1800s, Joseon began to accept Western science and visual culture, stepping into a time of dramatic change.
Photography, perspective,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had a strong impact on artists of the time. Art education, once off-limits to women, also began to open up.
These changes became a turning point that led traditional painting to start asking new questions.


2. Seeking Modern Calligraphy and Painting

Even after the closure of Dohwaseo, the royal painting institution, efforts to preserve and continue traditional painting persisted.
Amidst societal turmoil, artists contemplated how to pass on the spirit and techniques they had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Their struggle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East and West, is deeply embedded in the paintings on display.


3.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Art and Artist

In an era when the idea of a “professional artist” was unfamiliar, there were those who bravely put their names on their work and pursued new forms of expression.
One of the most memorable pieces in this section was Na Hye-seok’s Peonies at the Gallery.
Having recently written about her, I was delighted to encounter her work again here. The landscape, painted through her eyes and emotions, resonated even more deeply.


4. Oh Ji-ho

One of the featured artists in this exhibition is Oh Ji-ho.
During this visit, I learned that he was inspired to pursue art after seeing Na Hye-seok’s exhibition and that he studied under Go Hui-dong.
His representative work A House Facing South felt oddly familiar — and discovering how artists influenced and encouraged one another during this time was truly fascinating.


5. Portraying Life in Joseon

This section features works that were awarded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during the 1930s–40s, focusing on everyday life and people of that time.
Even under the weight of history, life went on, and these paintings warmly portray the artists’ efforts to capture that continued existence.


6. In Parallel: Park Rae-hyun and Kim Ki-chang

I found it quite striking that this artist couple once held a joint exhibition as husband and wife, even back in those days.
Among the exhibited works, Park Rae-hyun’s Woman, a portrait seen from behind, had a modern and sophisticated feel — as if it had been painted recently.
The way they influenced each other and expanded their work from figuration to abstraction still feels refreshing today.


7. On the Ruins: The Korean War and Formal Experimentation

From this section onward, the exhibition took on a heavier tone.
The tragedy of war changed not only people’s lives but also the language of painting. Fragmented structures, empty streets, and silence filled the canvases.
And yet, within the ruins, artists continued to explore new forms, revealing their resilience and creative drive.


8. Portraying Family

After the war, grand narratives faded, and artists turned their gaze toward something closer — family.
In the paintings and sculptures on display, the expressions of the figures spoke more deeply than words.
They reminded me of the intimacy and connection people held onto during painful historical moments.


9. Lee Jung-seop

The final gallery is dedicated to Lee Jung-seop.
While many of his works are familiar through textbooks or other media, what left the deepest impression on me was a letter he had written to his wife.
It was a picture and a message — a single, irreplaceable image drawn with pure love.
Lee’s ability to communicate not only through images but also through words showed another layer of his artistry, one that moved me greatly.

Recommended For

  • Those interested in how art responded to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 Visitors wanting to encounter the representative works of artists like Na Hye-seok, Oh Ji-ho, Park Rae-hyun, and Lee Jung-seop

  • Those who prefer to reflect slowly and quietly on the passage of time through art


One-Sentence Summary

In an era full of questions, these artists carried them through, leaving behind traces that still speak to us toda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