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exhibition < MMCA 과천 상설전 – 한국근현대미술 Ⅱ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Ⅱ>

 

박노수 <선소운> 1955 종이에 색


MMCA 과천 상설전 – 한국근현대미술 Ⅱ

20세기 후반,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따라 걷다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현재 《한국근현대미술 Ⅱ》 상설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 전시는 20세기 후반, 격동의 시대 속에서 변화하고 확장된 한국 미술의 주요 흐름을 120여 점의 작품을 통해 소개합니다.

전시는 총 11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치적 격변기 이후의 미술, 추상과 구상, 여성 작가들의 시도, 개념미술의 실험, 한국화의 변화, 동시대미술로의 확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김환기, 윤형근 작가의 이름을 단 섹션은 그들의 작업 세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전시 구성

  1. 정부 수립과 미술
    한국전쟁 이후 형성된 새로운 국가 질서 속 미술의 역할과 흐름을 보여줍니다.

  2.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전통적 구상 회화와 새로운 추상적 표현이 공존하던 시기의 고민이 담겨 있습니다.

  3. 추상미술의 확산
    국내 추상화가 어떻게 하나의 독립된 양식으로 자리 잡았는지를 설명합니다.

  4. 푸른 여백, 마음의 풍경: 김환기
    김환기의 대표작과 더불어, 그의 색과 점, 여백의 세계를 깊이 있게 조명한 섹션입니다.

  5. 모더니스트 여성미술가들
    당시 여성 작가들이 모더니즘 언어로 자신만의 미술세계를 만들어낸 과정이 흥미롭게 전개됩니다.

  6. 행위, 사물, 개념: 전위미술의 실험들
    1970년대 이후 개념미술과 퍼포먼스를 시도한 작가들의 실험을 만날 수 있습니다.

  7. 한국적 추상의 모색
    서양의 양식과 한국적 정신이 융합된 작업을 통해 ‘한국다움’에 대한 고민이 읽힙니다.

  8. 청다색, 천지문: 윤형근
    윤형근 작가의 작품 세계를 집중적으로 소개하며, 화면 너머의 고요한 울림을 전합니다.

  9. 한국화의 새로운 전환
    전통 한국화가 현대적 감각으로 어떻게 변주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섹션입니다.

  10. 형상의 회복과 현실의 반영
    민중미술, 사회적 리얼리즘 등 현실 참여적 미술 흐름을 다룹니다.

  11. 동시대를 향하여
    이불, 정연두, 강익중 등의 동시대 작가들이 한국미술의 미래를 어떻게 확장시켰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시를 보고 나서

김환기, 윤형근, 박서보, 이우환, 유영국, 하종현, 이불 등, 이름만으로도 압도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마주할 수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큰 감동으로 다가왔습니다.

전시 구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어 있어, 작품이 만들어진 배경과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전시 브로셔는 각 파트별 핵심 개념을 정리해주고 있어, 마치 강의와 함께하는 미술사 산책을 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방대한 분량의 전시임에도 불구하고, 관람 동선은 매우 안정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력을 유지하며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파트 1과 2를 합치면 총 26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지만, 그 많은 작업 속에서도 각각의 감동이 뚜렷하게 전달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점은, 각 작품마다 담긴 작가들의 에너지가 시간을 넘어 지금의 관람자에게까지 고스란히 전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에너지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구성한 기획자들의 노고 또한 잊기 어렵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한 자리에서 보고 싶은 분

  • 김환기, 윤형근 등 작가들의 작업 세계에 관심 있는 분

  • 미술과 함께 시대의 역사적 변화를 함께 느껴보고 싶은 분


한 줄 요약

20세기 후반, 한국 현대미술의 고민과 실험, 그리고 깊이를 한눈에 담아낸 상설전



윤형근 <청다색 82-86-32> 1982- 86 캔버스에 유화 물감


MMCA Gwacheon Permanent Exhibition –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Ⅱ

A Journey Through Post-1950s Korean Art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in Gwacheon, the second part of the Permanent Exhibition o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s currently on view. This segment highlights the evolution of Korean art from the mid-20th century onwards, featuring more than 120 key works that capture the diverse artistic movements and societal changes of the time.

The exhibition is organized into 11 thematic sections,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including ar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coexistence of abstraction and figuration, modernist women artists, conceptual art experiments,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the emergence of contemporary voices.

Among them, dedicated sections for Kim Whanki and Yun Hyong-keun offer a focused look into each artist’s distinctive world, allowing visitors to fully immerse themselves in their visual language and emotional depth.


Exhibition Overview

  1. Art and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This section explores the role of art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Korea after the war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2.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A transitional era where artists explored boundaries between representational art and abstraction.

  3. The Expansion of Abstract Art
    A look at how abstraction grew into a dominant mode of expression in Korean art.

  4. Blue Void, Inner Landscape: Kim Whanki
    A dedicated space for Kim Whanki’s serene, rhythmic compositions, centered on color, dots, and silence.

  5. Modernist Women Artists
    A section highlighting women who developed their own artistic voices within the male-dominated modernist scene.

  6. Action, Object, Concept: Experimental Avant-Garde
    An overview of conceptual and performance-based practices from the 1970s onward.

  7. Seeking Korean Abstraction
    Artists' attempts to blend Korean philosophy and aesthetics with global abstraction.

  8. Ultramarine and the Cosmos: Yun Hyong-keun
    A meditative presentation of Yun’s deep, resonant works rooted in nature and stillness.

  9. New Directions in Korean Painting (Korean-Hwa)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practices.

  10. Return to Form and Reflections of Reality
    This section covers the rise of realism and socially engaged art, including the Minjung art movement.

  11. Toward the Contemporary
    Works by artists such as Lee Bul, Kang Ik-joong, and Jeong Yeon-doo that reflect Korea’s place in global contemporary art.


Personal Reflections

Seeing works by Kim Whanki, Yun Hyong-keun, Park Seo-Bo, Lee Ufan, Yoo Youngkuk, Ha Chong-Hyun, and Lee Bul all in one space was a deeply moving experience.

Thanks to a well-curated layout and informative brochure, the exhibition felt like attending a lecture on modern Korean art. The clear division of eras and themes helped me stay engaged throughout, even though the number of artworks across both parts exceeds 260 pieces.

What struck me most was the energy embedded in each piece—the commitment and emotion of each artist seemed to transcend time. The curators' thoughtful planning made it easier to absorb not only the visuals but also the broade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behind them. I left the museum feeling grateful, both to the artists and to the team who made this exhibition possible.


Recommended For

  • Anyon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postwar Korean art

  • Those who want to see the works of major figures like Kim Whanki and Yun Hyong-keun in depth

  • Visitors curious about how Korean art has responded to and reflected historical change


One-Line Summary

An insightful and comprehensive journey into the evolution of Korean art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문우식 <무명교를 위한 구도> 1957,캔버스에 유화물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