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나혜석 Na Hye-seok >



자화상 @ 나혜석 기념홀


나혜석, 여성의 이름으로 붓을 든다는 것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나혜석관을 중심으로

수원화성 바로 옆,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 위치한 ‘나혜석관’은 한 사람의 이름을 오롯이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로 알려진 나혜석(羅蕙錫, 1896–1948). ‘최초’라는 단어 뒤에 따라붙는 무게가 늘 그렇듯, 그녀의 삶 역시 평탄하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림보다 그녀의 사생활이 더 많이 회자되는 현실 속에서, 나혜석관을 천천히 걸으며 처음으로 ‘작가로서의 나혜석’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작품 수가 많지 않다는 점이 늘 궁금했는데, 그녀의 삶을 조금 알게 되고 나니 그 이유를 이해하게 됩니다.


삶보다 짧았던 예술가의 시간

나혜석은 1913년 진명여학교를 졸업한 뒤, 1918년 일본 도쿄여자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면서 한국 여성 최초로 서양화 교육을 받은 인물이 되었습니다. 당시 여성에게 허락되지 않았던 창작과 공부, 그리고 ‘개인의 목소리’를 당당히 외쳤던 삶은 그 자체로 파격이었습니다.

귀국 후에는 미술가, 작가, 사회운동가로 활동하며 여성의 독립성과 자아를 일관되게 주장했습니다. 1921년에는 우리나라 여성 최초로 개인전을 열었으며, 《결혼과 이혼》, 《이혼고백서》 등을 통해 여성의 현실과 권리를 직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그림에서는 주로 인물화와 풍경화를 중심으로 한 부드러운 색조와 섬세한 터치를 보여줍니다. 유럽 유학 시절 남긴 작품들에서는 당시 아방가르드 회화의 영향도 일부 엿보입니다. 그러나 사회적 비난과 경제적 고립 속에서 점차 붓을 내려놓게 되었고, 생애 말기에는 예술 활동이 거의 중단되었습니다.


‘나혜석관’에서 마주한 작가의 얼굴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내 나혜석관은 그녀의 작품뿐만 아니라, 시대를 앞서 살았던 한 여성의 정신을 기록한 공간입니다. 실제 그림 외에도 당시 활동 기록과 글, 사진 등이 함께 전시되어 있어 ‘작가 나혜석’과 ‘인간 나혜석’을 동시에 마주하게 됩니다.

그림은 많지 않지만, 남은 몇 점의 붓질 속에는 한 사람의 사유, 시대와 싸운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여성의 삶, 예술가의 존재, 그리고 그 사이 어디쯤에 있던 나혜석의 이야기가 오늘날 우리에게 또 다른 질문을 던지는 듯합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여성 작가의 삶과 예술을 함께 살펴보고 싶은 분, 조용히 사유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을 찾고 계신 분

한 줄 요약
: 한국 최초 여성 서양화가의 예술과 정신을 기억하는 공간, 나혜석관




Na Hye-seok: Painting Under a Woman’s Name

At Suwon Ipark Museum of Art – Na Hye-seok Hall

Right beside the historic Suwon Hwaseong Fortress stands the Suwon Ipark Museum of Art. One of its most quietly powerful spaces is the Na Hye-seok Hall, dedicated to Korea’s first recognized female Western-style painter, Na Hye-seok (1896–1948).

Although she holds the title of a “first,” her legacy is often overshadowed by stories of her personal life rather than her artistic achievements. Walking through this dedicated hall, I found myself focusing on the artist for the first time—beyond the myths, beyond the scandal. It also explained why so few of her works remain.


A Brief Yet Impactful Artistic Life

Na Hye-seok graduated from Jinmyeong Girls' High School in 1913 and went on to become the first Korean woman to study Western painting, enrolling in the Western Painting Department of Tokyo Women’s Art School in 1918. At a time when women were denied both education and self-expression, her pursuit of art was a radical act.

After returning to Korea, she worked not only as a painter but also as a writer and women’s rights activist. In 1921, she held Korea’s first solo exhibition by a female artist, and through her writings such as "On Divorce" and "Confession of Divorce," she openly criticized the rigid gender norms of her time.

Her paintings often feature delicate brushstrokes and soft tones, mainly depicting portraits and landscapes. Some of her works created during her time in Europe hint at influences from early avant-garde movements. However, due to harsh public scrutiny and economic hardship, she gradually withdrew from artistic work, and in her later years, she stopped painting altogether.


Meeting the Artist at Na Hye-seok Hall

The Na Hye-seok Hall at Suwon Ipark Museum of Art is not simply a space to view paintings—it’s a room where one encounters the voice and vision of a woman ahead of her time. Alongside her remaining artworks, visitors can explore her writings, photographs, and documents, which together offer a deeper understanding of both Na Hye-seok the artist and Na Hye-seok the person.

Though her artistic output was limited, what remains carries the traces of a woman who dared to think, express, and resist. Her brushwork—calm yet quietly insistent—invites viewers to reflect on the burdens she bore and the boundaries she challenged.


Recommended for
: Those interested in the lives of women artists and contemplative spaces that invite reflection on art and identity.

One-line summary
: A quiet space honoring Korea’s first female Western-style painter and the bold spirit behind her brush.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