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방진태 Jin-tae Bang >

 


자연을 걷고, 감각을 채집하다 – 방진태 작가의 산수화

전통 수묵화의 표현 언어를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을 더해온 방진태 작가는, ‘자연’과 ‘자아’의 관계를 사유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의 작업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바로 ‘보보관(步步觀)’과 ‘채집된 산수’입니다.

‘보보관’은 ‘걸음마다 관찰한다’는 뜻으로, 자연을 정적인 대상으로 관조하는 전통적인 산수의 관점에서 벗어나 직접 걷고 체험한 자연을 동적인 시선으로 수집하고 재구성하는 태도입니다. 작가는 자전거를 타거나 걸으며 일상에서 마주친 풍경을 감각적으로 기억하고, 이를 화면 위에 재구성합니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채집된 산수’라는 개념으로 구체화됩니다. 곤충 표본을 수집하듯 자연의 인상적인 지형이나 형상을 기억하고, 이를 조각처럼 화면에 배치하는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산수화가 관념 속 자연을 그렸다면, 방진태 작가는 경험된 자연을 시각적으로 편집해냅니다. 140개의 산 형상을 표현한 작품이나, 입체적인 산의 모습을 곤충표본처럼 구성한 작업은 이러한 의도를 잘 보여줍니다.

‘채집된 산수’에서 ‘사유의 숲’으로

방진태의 산수화는 크게 두 가지 형식으로 나뉩니다. 하나는 여백 속에 산의 형상이 섬처럼 떠 있는 ‘채집된 산수’ 형식, 또 하나는 화면 전체를 청록색 계열의 숲으로 채운 ‘사유의 숲’ 형식입니다. 전자는 직관적 붓질과 조형적 구성이 강조되며, 후자는 화면 속으로 깊이 들어가야만 보이는 섬세한 생명체들을 통해 내면의 사유를 유도합니다. 두 연작은 모두 자연과 인간이 어떻게 마주하고 연결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풀어내고 있으며, 보는 이로 하여금 산수화의 새로운 감각을 경험하게 합니다.

작가가 바라는 감상의 방향

방진태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관람자에게 어떻게 가닿기를 바라는지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습니다.

“그저 편안한 감정을 느끼면 좋겠다. 산이 품고 있는 무수한 것 중 내게 가장 큰 울림을 주는 건 ‘자유’의 감각이다. 우리가 쉼이 필요할 때 산을 찾듯, 자연 속에서 숨을 쉬고, 물소리를 듣고, 나무를 관찰하는 행동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맞닿아 있다고 본다. 내 작업을 통해 산이 품은 자유의 감각을 느끼고, 산에서 편히 쉬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길 바란다.”

이처럼 그의 회화는 단순한 자연 재현을 넘어, 자연과 마주하는 우리의 감각과 감정을 되짚게 합니다. 자유롭게 숨 쉬는 듯한 붓질, 넉넉한 여백,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정제된 산의 형상은 보는 이의 마음에 잠시 쉼을 선사합니다.

주요 활동 및 전시

방진태 작가는 2022년 보이드갤러리와 대봉정에서 열린 개인전 《산수채집》을 통해 ‘보보관’ 철학을 바탕으로 한 산수화를 선보였으며, 이후 다양한 단체전과 아트페어에 참여하며 활동 영역을 넓혀왔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국내 대표 아트페어인 화랑미술제 ‘ZOOM-IN 에디션6’에 신진 작가로 선정되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당시 출품작은 개막 수 시간 만에 전량 판매되며, 예술성과 시장성 모두를 입증했습니다.

마무리하며

방진태 작가의 산수화는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풍경을 낯설게 보게 만드는 힘을 지녔습니다. 걷고, 관찰하고, 채집하는 과정을 통해 축적된 감각은, 화면 위에서 하나의 산으로 응축됩니다. 그리고 그 산은 더 이상 풍경이 아닌, 감정과 기억, 그리고 사유의 공간이 됩니다.

자연과 감정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방진태 작가의 작품은 전시를 통해 감상하실 수 있으며, 향후 일정은 작가의 공식 채널 및 참여 갤러리의 안내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한 줄


산과 자유, 감각과 사유가 만나는 지점에서 태어나는 방진태 작가의 산수화는 오늘의 자연을 걷고 채집한 마음의 풍경입니다.




Walking Through Nature, Collecting Senses – The Landscape Paintings of Jin-tae Bang

Jin-tae Bang is an artist who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Korean ink painting through a contemporary lens. His work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the self, centering around two key concepts: Bobogwan (步步觀, “observing with every step”) and Collected Landscapes.

Bobogwan refers to an attitude of experiencing nature not as a static subject of contemplation, but as a dynamic entity to be observed step by step—through walking, cycling, and living. Rather than idealized landscapes, Bang’s paintings are built upon direct experiences of nature as it changes in everyday life.

This process of engagement is crystallized in his concept of Collected Landscapes. Similar to collecting specimens like butterflies or insects, the artist gathers visual and emotional impressions of nature and composes them into a unified image. These are not imaginary sceneries, but landscapes that have been encountered, remembered, and intuitively edited. Works featuring 140 different mountain forms, or framed mountain shapes resembling specimen boxes, exemplify this approach.

From “Collected Landscapes” to the “Forest of Thought”

Bang’s paintings generally fall into two formal types: one in which singular mountain shapes float in white space (Collected Landscapes), and another where the entire canvas is densely filled with rich, green-blue forests (Forest of Thought).

The former presents sculptural, island-like forms, often drawn intuitively without preliminary sketches, then overlaid with delicate textures and trees. The latter invites viewers to step into the work—what at first appears to be a monochrome surface reveals, upon closer look, animals, bicycles, and people delicately embedded in the forest, showing that essential truths emerge not from surface impressions but from deeper observation.

These two series differ in form but are conceptually intertwined. Collected Landscapes focuses on structure and memory, while Forest of Thought delves into emotional resonance and introspection. One is about shaping what’s visible; the other about sensing what lies within.

A Personal Vision of Freedom

When asked how he hopes audiences will receive his work, Bang shared the following:

“I simply hope they feel at ease. Among all the things that mountains hold, the feeling of ‘freedom’ resonates most deeply with me. Just as people seek mountains when they need rest, breathing in nature, listening to water, and observing trees are all expressions of our free will. I hope my work can convey that sense of freedom that the mountains hold—and perhaps make people want to rest there for a while.”

This wish is embodied in his use of flowing brushstrokes, generous blank spaces, and simplified forms—each guiding the viewer toward a space of quiet reflection.

Exhibitions and Recognition

Bang held a solo exhibition titled Collected Landscapes in 2022 at Void Gallery and Daebongjeong, where he presented works grounded in the philosophy of Bobogwan. He has since participated in various group exhibitions and art fairs, gaining increased recognition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 2025, he was selected as one of the emerging artists featured in ZOOM-IN Edition 6, a special exhibition within Korea’s largest art fair, Korea Galleries Art Fair (KGAF).His works sold out within hours of the opening, reflecting both market appeal and artistic merit.

Final Thoughts

Bang’s landscapes are not depictions of nature as it is, but reflections of how we perceive and feel it. His practice of walking, observing, and collecting transforms into paintings that capture not only the form of mountains but also their resonance within the human experience.

His work can be seen in exhibitions held throughout Korea, and future schedules can be found through the artist’s official channels or affiliated galleries.


Summary in One Line

Jin-tae Bang's landscapes are mindscapes—gathered from nature, shaped by memory, and offering a quiet sense of freed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