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숲의 얼굴들, 경계를 허무는 작가 – 갑빠오 KAPPAO
‘갑빠오’라는 이름은 처음 들었을 때부터 어딘가 기억에 남았습니다.
구 하우스에서 마주한 그의 작품은 낯설면서도 익숙했고,
국립현대미술관 굿즈샵에서 다시 본 그의 세라믹 인물들은
마치 오랜 친구처럼 친근하게 다가왔습니다.
작가는 본명 ‘고명신’.
‘갑빠오(KAPPAO)’는 성 ‘고(KO)’를 이탈리아식 발음으로 읽었을 때
‘K’는 ‘갑빠’, ‘O’는 ‘오’로 들리는 데서 비롯된 활동명입니다.
사회학을 공부하던 중, 진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도예를 시작했고,
스물아홉이라는 나이에 이탈리아로 건너가
브레라 국립미술대학교에서 장식미술을 공부했습니다.
그곳에서 회화, 사진, 조각, 공예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무엇이 자신을 가장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탐색했다고 합니다.
그의 작업은 언제나 ‘경계’를 향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동식물, 자연 사이에 놓인 보이지 않는 경계,
그리고 도자기와 회화, 설치라는 장르의 경계까지.
작가는 이 모든 경계들을 허물고자 다양한 매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로 흙을 다루는 그는
무표정한 듯한 인물들의 얼굴을 자주 만들어냅니다.
그 표정들은 하나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호기심과 무관심, 즐거움과 외로움이 뒤섞여
어딘가 알 수 없는 감정을 머금은 채 조용히 우리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작가는 2015년 작가노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유쾌한 듯 보이지만 불쾌하지 않을 뿐이고,
행복해 보이지만 불행하지 않을 뿐이다.
이런 정체불명의 표정을 한 사람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살아가는 평범한 우리들,
나 혹은 당신의 얼굴이다.”
그의 작품은 겉보기에는 동화적이고 순수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결코 단순하지 않은 정서가 숨어 있습니다.
웃는 것도, 우는 것도 아닌 표정들.
그 미묘한 얼굴들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자기 자신을 발견합니다.
서울 한복판, 절과 유치원이 나란히 있는 동네에 자리한 그의 작업실.
이 동네와 삶의 리듬이 작품에 깊이 스며들었다고 말합니다.
잃어버린 반려묘 ‘봄이’를 찾아 절과 숲을 헤매던 날들 속에서
쌓아 올려진 얼굴들로 구성된 ‘Hookup’ 시리즈가 탄생했지요.
관계의 끈을 아슬아슬하게 이어가는 인간들, 혹은 우연히 쌓인 인연의 기둥.
그 의미는 결국 관람자의 몫입니다.
갑빠오 작가는 스스로를 특정 장르의 예술가로 정의하지 않습니다.
그에게 작업이란, 삶을 바라보는 방식 그 자체입니다.
작업은 ‘소중한 것을 소중하게’ 다루는 행위이며,
그는 그 소중함을 흙, 나무, 색, 표정 같은 재료들 위에 조심스럽게 담아냅니다.
그의 작품은 결코 직접적으로 위로하거나
무언가를 말하려 들지 않습니다.
다만,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불규칙한 점선 같은 관계를
한편 말갛고, 한편 쓸쓸하게 이야기할 뿐입니다.
우리는 모두 섬처럼 흩어져 존재하지만,
어쩌면 그 사이에는 실처럼 가느다란 연결이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 줄의 진동을 느끼는 일,
그 미세한 떨림에 귀 기울이는 시간이,
곧 갑빠오의 작품을 감상하는 시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관계에 대해 고민해본 적 있는 분, 장르를 넘나드는 작업에 흥미가 있는 분,
말갛고도 쓸쓸한 예술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고 싶은 분
한 줄 요약
: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무표정한 얼굴 속 내면의 감정을 조용히 건네는 작가, 갑빠오.
Faces from a Small Forest — KAPPAO, the Artist Who Softly Breaks Boundaries
The name KAPPAO lingered in my memory from the moment I first heard it.
When I encountered her work at Gu House, the familiar-yet-unfamiliar ceramic figures stood quietly in their own space.
And then again, meeting her creations at the MMCA gift shop, I felt a sense of closeness—as if I’d run into a familiar face.
The artist’s real name is Go Myung-shin.
The name KAPPAO comes from reading her surname “Ko” in an Italian pronunciation—K as “Kappa” and O as “O.”
Originally a sociology major, she found herself asking what it was she truly wanted to do.
That question eventually led her to ceramics, and then to Milan, where she studied Decorative Arts at the Brera National Academy of Fine Arts.
There, she explored painting, photography, sculpture, printmaking—moving freely between media, tracing the outline of her own voice.
Her work often centers on the idea of boundaries—
those invisible lines between humans, animals, and nature.
By connecting ceramics, painting, and installation in an organic way,
she challenges not only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but also between artistic genres and materials.
Working primarily with clay, she frequently creates faces—
often expressionless at first glance,
yet, as you look closer, they seem to carry quiet whispers of emotion:
curiosity, indifference, contentment, solitude.
These ambiguous expressions speak to emotions too subtle to name.
She once wrote in her artist statement:
“They may appear cheerful, but they’re not unpleasant.
They may seem happy, but they’re not necessarily fortunate.
These ambiguous expressions belong to ordinary people like you and me—
navigating life somewhere between joy and sorrow.”
Her art may appear whimsical or innocent on the surface,
but within, there’s always a layer of melancholy, even a quiet sadness.
Her figures seem to smile and sigh at the same time—
and perhaps, in them, we see our own complicated emotions reflected.
Living and working in a neighborhood tucked between temples and a kindergarten in central Seoul,
the rhythms of her surroundings have deeply influenced her work.
When her cat “Bomi” went missing for nearly three months,
her daily search through nearby temples and forest paths led to the birth of the Hookup series—
a collection of stacked faces, uneven and diverse, like a fragile tower of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KAPPAO doesn’t define herself strictly as a ceramicist or a painter.
To her, art is not about fitting into categories.
It’s about observing life closely—objects, spaces, people—and treating the precious as precious.
Her work is as much about how she lives as it is about what she makes.
She doesn’t seek to comfort viewers or deliver direct messages.
Instead, her works speak of relationships like dotted lines—
sometimes broken, sometimes reconnected, always slightly trembling.
We are all like islands, scattered across a sea of life.
And yet, perhaps there is an invisible thread between us—
a thread that gently trembles when tugged,
a thread that KAPPAO’s quiet, thoughtful figures seem to sense.
Recommended for
Those interested in subtle emotional expression, cross-genre artistic practices, or anyone navigating their own in-between spaces.
One-line summary
KAPPAO is an artist who dismantles boundaries—between people, materials, and feelings—with quiet faces and even quieter storie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