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함 너머의 생명, 작가 노은님
경주 솔거미술관을 찾았던 날, 예상치 못했던 색채가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어린 아이의 그림 같기도 하고,
어른 들이 읽는 동화책 속 한 장면 같기도 한 그림들.
그 앞에서 저는 한참을 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알게 되었습니다. 이 인상적인 작업의 주인공은 바로 노은님이라는 작가였습니다.
독일 미술계에 남긴 깊은 자취
노은님은 1970년대 독일로 건너간 간호사 출신의 한국인 여성 작가입니다.
하지만 이 짧은 이력만으로는 그녀의 예술세계를 설명하기엔 너무 부족합니다.
그녀는 한국 작가 최초로 국립 함부르크 조형예술대학 정교수로 임용되었고,
20여 년간 독일에서 미술 교육에 힘쓰며
베를린 도큐멘타, 세계문화의 집, 바우하우스, 국제 평화 비엔날레 등에 초청된
독일 미술계에서도 중요한 이름 중 하나였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그녀의 이름은
‘파독 간호사 출신 작가’, 또는 ‘물고기를 그리는 순수한 화가’로 소개되곤 합니다.
그녀가 수십 년간 이어온 작가로서의 삶보다
‘간호사였던 시절’이 더 자주 언급된다는 사실은
한국 여성 작가들이 겪는 고정된 시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자연을 감각하는 방식
노은님의 작업은 자연을 구성하는 힘과 생명의 순환에 대한 고찰로 가득합니다.
그녀의 초기 퍼포먼스는 진흙으로 사람의 형상을 빚거나,
나뭇잎 더미 안에 얼굴을 숨기는 식으로
자연과 하나가 되어보려는 시도였습니다.
그녀는 종이와 아크릴, 설치, 테라코타 조각, 스테인드글라스에 이르기까지
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작업해 왔으며,
특히 1980~90년대의 대작 회화에서는 우주를 구성하는 에너지와 생명의 탄생을
형상화하려는 시도가 돋보입니다.
작품에는 자주 작은 점이 등장하는데,
이는 생명의 시작을 뜻하며, 동시에 눈(目)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수족관의 장님 물고기를 본 뒤, 노은님은 자신이 그린 생명체들에게 눈을 주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점들이 선이 되고, 선은 형태가 되어 새, 물고기, 꽃, 고양이로 자라납니다.
이러한 표현은 단순한 형상이 아니라
그녀가 느낀 자연의 본질과 생명력에 대한 직관적인 언어였습니다.
‘영적인 손님’이 다녀간 자리
노은님은 작업 중 “영적인 손님”이 찾아온다고 말합니다.
그 손님이 떠나기 전, 자신은 온몸으로 그림을 써 내려간다고요.
밑그림도 없이 바닥에 커다란 종이를 깔고
붓, 걸레, 빗자루 등 손에 잡히는 도구로 밀고 긋고 찍으며
그녀는 마치 퍼포먼스처럼 그림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단순한 회화가 아닌, 몸으로 써 내려간 한 편의 시(Poesie)와도 같은 작업입니다.
붓질의 여운이 남긴 여백은 오히려 관람자의 상상력을 더 깊이 끌어들이고,
작가가 사랑해 마지않은 자연의 생명력은
그림 한가운데에서 조용히 숨 쉬고 있습니다.
기억 속의 노은님
솔거미술관에서 마주한 노은님의 그림은
익숙한 듯 낯설었고, 순수한 듯 깊이 있었습니다.
무언가 ‘의도되지 않은 생명력’이 화면 가득 퍼져 있었습니다.
그것은 언어로 설명되기보다는,
한참을 바라보다가 문득 느껴지는 어떤 울림에 가까웠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생명과 자연, 단순한 선이 만들어내는 시적 감성을 느끼고 싶은 분께
노은님의 작업을 조용히 추천드립니다.
한 줄 요약
노은님의 작품은, 단순한 선을 따라 생명이 깃든 시가 완성되는 순간입니다.
Noh Eun-nim: Life Beyond Simplicity
During my visit to the Solgeo Art Museum in Gyeongju, I came across a group of paintings that caught me off guard.
They looked as if they had been drawn by a child—raw, colorful, filled with spontaneity.
Yet the more I looked, the more I sensed a kind of quiet, lyrical intensity.
The artist behind these works was Noh Eun-nim.
A Lasting Legacy in German Art
Noh Eun-nim is often introduced in Korea as a former “nurse dispatched to Germany” or as an artist who paints animals with childlike innocence.
But this description barely scratches the surface.
She was the first Korean artist appointed as a full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Fine Arts of Hamburg,
where she taught for over 20 years and built a distinguished career in the German art scene.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at some of Europe’s most respected institutions and events, including
Documenta Berlin, Haus der Kulturen der Welt, Bauhaus, and the International Biennale for Peace.
Despite this, her legacy in Korea remains under-recognized—
often reduced to a few biographical tags rather than celebrated for her decades of artistic practice.
The fact that her short time as a nurse is more widely remembered than her long journey as an artist
speaks volumes about the way women artists are still perceived in Korean society.
Sensing Nature Through Art
At the heart of Noh Eun-nim’s work lies a deep question:
What is nature made of? And how does the force behind it work?
In her early performance pieces, she merged her body with nature—
burying her face in leaves, shaping human forms from mud,
or walking through parks with cardboard animals in tow.
These actions were quiet, almost ritualistic—an artist trying to feel the pulse of the world around her.
Her paintings also reflect this curiosity.
Dots often appear in her works—marks that symbolize both eyes and the origins of life.
After seeing a blind fish in an aquarium, she began adding eyes to the creatures she painted—giving them life, presence, and soul.
These dots evolve into lines,
and those lines become the simple yet vibrant forms of birds, cats, fish, and flowers.
Her bold, intuitive brushstrokes—rendered in colors close to primary hues—express not only shape but energy.
The Arrival of a Spiritual Guest
Noh once described her creative process as a moment when a “spiritual guest” visits her.
This guest appears when she’s completely absorbed in painting, having let go of all conscious thought.
At that moment, something alive appears on the canvas.
She spreads large sheets of paper or canvas across the floor,
picks up whatever tools are at hand—brushes, brooms, rags—and paints with her entire body.
There is no sketch, no plan, only movement and instinct.
Her works are less painted than they are performed.
The result is often a semi-abstract form—part bird, part fish, part dream.
It is a poem written through movement, where the lines and empty spaces speak to the viewer like verses.
Remembering the Encounter
The paintings I saw at the Solgeo Art Museum were
strangely tender, like scenes from a storybook meant for adults.
There was no flashiness, no unnecessary detail—
only brushstrokes that seemed to breathe and pause with quiet rhythm.
It wasn’t something to analyze, but something to feel.
And I stood there, feeling it, for quite a while.
Recommended for:
Those who find beauty in simplicity, rhythm in nature, and poetry in color.
One-line summary:
Noh Eun-nim’s paintings are poems of life, written in lines and dot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