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 place < 기증의 서재 @ 국립중앙박물관 The Library of Sharing @ National Museum of Korea >

 

나눔의 서재 키오스크 / 직접 촬영


나눔의 가치를 담은 공간 — 국립중앙박물관 ‘나눔의 서재’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하면, 대개 찬란했던 역사와 웅장한 유물을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번에 찾은 ‘기증관’은 조금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공간이었습니다. 특히 입구에서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나눔의 서재’는 예상 밖의 편안함과 감동을 함께 주는 장소였습니다.

책가도처럼 전시된 기증의 마음

‘나눔의 서재’는 단순한 전시 공간이 아닌, 다양한 기증품과 그 배경 이야기를 아카이브와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벽면을 가득 채운 진열장에는 200여 점에 달하는 기증품이 마치 책가도처럼 정갈하게 배치되어 있었고, 각각의 유물 설명은 진열장 대신 옆에 마련된 키오스크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방식은 마치 어릴 적 과자 안쪽의 숨은그림찾기를 하듯, 하나씩 찾아보는 소소한 즐거움을 안겨주었습니다. 김환기 화백의 작품부터 통일신라의 짐승무늬 와당, 조선시대의 도자기까지, 서로 다른 시대와 배경을 가진 유물들이 ‘기증’이라는 따뜻한 연결 고리로 묶여 있었습니다.

기증자의 이야기와 박물관의 기록

공간 한편에는 기증자들의 사연과 기증품에 관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아카이브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이곳에서는 기증자의 인터뷰 영상과 함께, 「박물관신문」에 실린 관련 기사들을 편안히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세 번째 아카이브’에서는 박물관신문에 실렸던 기증 관련 기사를 고화질 이미지로 확대해볼 수 있어, 박물관신문의 변천사를 되짚는 재미도 느껴졌습니다. 평소 박물관신문을 애독하시는 분들이라면 더욱 흥미롭게 관람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의 물건, 세 개의 시간 — 손기정의 그리스 투구

기증관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또 하나의 전시는 ‘손기정이 기증한 그리스 투구’입니다. 이 투구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우승자에게 수여될 예정이었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손기정 선생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오랫동안 독일 박물관에 보관돼 있었습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나, 손기정 선생은 투구를 되찾아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하게 됩니다. 전시는 이 투구가 담고 있는 의미를 ‘과거(마라톤 우승) – 현재(반환 과정) – 미래(박물관 전시)’라는 세 가지 시간 축으로 풀어내며, 기증을 통해 새롭게 이어지는 이야기의 흐름을 조용히 전하고 있었습니다.

모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향해

이번 기증관 개편에서 인상 깊었던 또 다른 점은, 누구나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배려한 공간 구성입니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패널과 음성 안내, 수어 영상과 자막,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키오스크 좌석, 발달장애인을 위한 쉬운 설명 리플릿까지, 다양한 배려가 공간 곳곳에 스며 있었습니다.

또한 전시품과 아카이브를 천천히 감상할 수 있도록 라운지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고, 자연채광이 드는 휴게 공간은 관람 자체를 하나의 ‘쉼’으로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조용히 머무를 수 있는 미술관 공간을 찾는 분

  • ‘기증’이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싶은 분

한 줄 요약

전시와 기록, 쉼이 어우러진 ‘나눔의 서재’는 기증의 가치를 따뜻하게 전하는 복합문화공간입니다.



기능의 서재 전시 벽면 / 직접 촬영


A Space That Embodies the Spirit of Giving — The Library of Sharing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en visit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ne usually expects to encounter splendid historical relics and grand exhibitions. However, the recently revamped Donor Gallery offers a somewhat different and memorable experience. The very first space that greets visitors is The Library of Sharing—a place that offers both comfort and inspiration beyond expectation.

A Cabinet of Giving, Displayed Like a Chaekgado

Rather than being a traditional exhibition room, The Library of Sharing is a multi-functional cultural space that combines display, archive, media, and rest. The walls are filled with showcases arranged like a traditional chaekgado (paintings of bookshelves), featuring over 200 donated artifacts. Instead of placing explanation labels inside the cases,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via nearby digital kiosks.

This layout offers a kind of joy akin to finding hidden pictures in childhood snacks—an interactive experience of discovering one item after another. From works by artist Kim Whanki to Unified Silla-era roof tiles and Joseon porcelain, artifacts from various eras and backgrounds are thoughtfully brought together under the theme of “donation.”

The Donor’s Stories and the Museum’s Archive

In one corner of the space, visitors will find an archive section that shares the stories behind each donation. Here, visitors can view documentary films about the donors, read articles from The Museum Times, and explore the motivations behind the donations.

Of special interest is the “third archive,” where high-resolution scans of donation-related articles from The Museum Times are displayed. This section allows visitors to appreciate not only the history of donations but also the evolution of the publication itself—a hidden gem for longtime readers of the paper.

One Artifact, Three Moments in Time — Son Kee-Chung’s Greek Helmet

One must-see highlight of the gallery is the Greek helmet donated by Olympic marathon gold medalist Son Kee-Chung. Though it was meant to be awarded to him at the 1936 Berlin Olympics,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prevented him from receiving it. The helmet remained in a Berlin museum for 50 years.

After long efforts, Son finally reclaimed the helmet and generously donated it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94. This part of the exhibition traces the journey of the artifact through three temporal lenses: past (his Olympic victory), present (the recovery process), and future (its legacy as a public display). Through this story, the exhibition reminds us that a donation is more than a transfer of ownership—it is the sharing of memory and meaning.

Toward a Space Where Everyone Can Belong

Another noteworthy aspect of the gallery’s renewal is its focus on accessibility and comfort. The entrance is equipped with braille panels and audio guides for visitors with visual impairments. Sign language videos and subtitles accompany the exhibition videos, and the archive kiosks include wheelchair-friendly seating. Easy-read leaflets are also available for visito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oughtful touches like seating areas and lounges with natural lighting create a bright and inviting atmosphere—allowing visitors to stay, reflect, and take in the space at their own pace.


Recommended For

  • Those looking for a quiet and thoughtful space in a museum

  • Those who wish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giving and cultural sharing

One-line Summary

The Library of Sharing is a cultural space where exhibition, archive, and rest come together to warmly convey the value of giving.


기증의 서재 / 직접 촬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