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 place < 박노수 미술관 Park No Soo Art Museum >

 

박노수 미술관 / 직접 촬영

인왕산 아래, 박노수미술관에서 마주한 시간

서촌을 걷다 보면, 어느 순간 인왕산 기슭의 고요한 정취와 함께 시선을 사로잡는 공간이 나타납니다. 바로 박노수미술관입니다.
고즈넉한 골목을 따라 걷다가 문득 마주한 이곳은, 단순한 전시 공간이 아니라, 한 예술가의 삶과 철학이 고스란히 머물렀던 자리입니다.

작가의 삶이 깃든 공간

박노수 화백이 1973년부터 2011년 말까지 40년이 넘는 세월을 거주했던 이 가옥은, 현재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937년경 지어진 절충식 가옥으로, 내부에는 온돌방과 마루, 세 개의 벽난로가 갖춰져 있으며 서까래가 드러난 박공지붕과 벽돌 포치 현관이 아늑한 인상을 더합니다.
한식의 기본 구조에 서양식 요소가 섞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집은, 서울시 문화재자료 1호로 등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이곳에서는 박노수 화백이 실제로 머물며 구상하고, 그림을 그리고, 자연을 바라보았던 그 공간에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사진 촬영은 금지되어 있고, 관람객 수도 제한되어 있어 더욱 조용하고 집중된 분위기 속에서 전시에 몰입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예술가의 공간’이라는 특수한 느낌이 강하게 남습니다.
단순히 그림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이 태어난 자리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험은 그 자체로 특별했습니다.
작품을 보는 시선도, 그 속에 깃든 여운도 조금 더 깊어지는 듯했어요.

간원日記 – 대자연을 꿈꾸는 마음

마침 방문 당시에는 미술관 개관 11주년을 기념하는 《간원일기 艮園日記》 전시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간원(艮園)'은 박 화백이 1980년대 후반부터 사용했던 부암동 화실의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번 전시는 그 시절의 작업과 기억들을 담아낸 구성으로, 총 세 가지의 흐름으로 나뉘어 전개됩니다.

첫 번째는 1990년대의 산수화 작품들. 여백과 절제의 미학을 통해 이상적 자연을 표현한 작품들 속에는, 도시에서 벗어난 화백의 심상이 깊이 깃들어 있습니다.
두 번째는 지금 우리가 밟고 서 있는 이 가옥—1937년 절충식 양식으로 지어진 문화주택—의 건축적 특성과 화백의 정원 취향을 들여다볼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세 번째는 박노수 화백이 사랑한 수석들을 미디어 아티스트 박유석 작가가 재해석한 작품 《산천 승경》으로, 자연과 시간, 정서를 시각과 청각으로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이 전시를 관람하며 문득 떠오른 단어는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습니다.
짧은 꿈처럼 지나가버린 시간 속에서 화백이 바랐던 대자연 속의 쉼, 그리고 그리움이 작품과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듯했어요.
얼마 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마주했던 박노수 화백의 작품도 자연스레 떠올랐고, 정원과 실내 곳곳에서 그분의 담백한 취향이 엿보였습니다.

박노수(1927–2013) – 전통 위에 새로운 감각을 더하다

남정(藍丁) 박노수 화백은 충남 연기군(현 세종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한 후 청전 이상범, 근원 김용준, 월전 장우성 등에게 사사했습니다.
1950년대부터 수많은 수상 경력을 쌓으며 한국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작가로 평가받습니다.

간결한 운필과 강렬한 색감, 대담한 터치로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는 자신만의 자연과 인간상을 그려냈습니다.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예술원 회원으로도 활동했습니다.
2011년, 와병 중에도 삶의 터전이자 작품의 공간이었던 이 가옥과 작품을 종로구에 기증하며, 미술관 설립을 위한 뜻을 남겼습니다.
그 뜻은 2013년, 박노수미술관으로 이어졌고, 지금까지 관람객들에게 고요하고도 깊은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람 정보

  • 전시 기간: 2024.5.10 ~ 2025.7.31 《간원일기》

  • 운영 시간: 10:00~18:00 (입장 마감 17:30)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 주소: 서울 종로구 옥인1길 34

  • 입장 시 유의사항: 신발을 벗고 입장 / 실내 사진촬영 불가 / 관람객 수 제한 (최대 15명)

  • 문의: 02-2148-4171

※ 주차 공간이 없어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드립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예술가의 삶의 공간에서 직접 작품을 감상해보고 싶은 분

  • 전통 건축과 현대 미술이 어우러진 장소를 찾는 분

  • 여백과 자연, 사색의 미감을 느끼고 싶은 분


한 문장 요약


박노수미술관은 작품과 공간이 하나로 이어지는, 예술가의 시간이 머무는 곳입니다.


이미지 출처 : 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 홈페이지


A Quiet Encounter at Park No-Soo Art Museum, Beneath Inwangsan

While strolling through Seochon, beneath the slopes of Inwangsan Mountain, I stumbled upon a serene space—Park No-Soo Art Museum.
Nestled in a quiet neighborhood, this place is not merely an art museum, but a deeply personal site where an artist once lived, worked, and dreamed.

A Home that Became a Museum

From 1973 to the end of 2011, the late Park No-Soo, one of Korea’s most prominent Korean painters, lived in this house.
Built around 1937 in an eclectic style combining Korean and Western elements, the house retains many of its original features: ondol-heated rooms, wooden floors, exposed rafters beneath the gabled roof, and three fireplaces.
With its tranquil brick porch and preserved traditional layout, the house was designated Seoul Cultural Heritage No. 1 and is now open to the public as a museum.

As visitors, we’re invited to walk through the very rooms where the artist once painted and reflected.
Photography inside is prohibited, and the number of visitors is limited, creating a quiet, contemplative atmosphere.
Unlike conventional gallery spaces, this museum allows us to experience art within the very space that shaped it—a truly rare and immersive experience.

“Ganwon Diary” – Dreaming of a Return to Nature

When I visited, the museum was hosting a special exhibition titled “Ganwon Diary (艮園日記)”, commemorating its 11th anniversary.
‘Ganwon’ refers to Park No-Soo’s studio in Buam-dong, where he worked from the late 1980s.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hree themes:

  1. Idealized Landscapes – Featuring his 1990s landscape paintings, this section explores the artist’s deep connection to nature and his unique way of expressing vast space through restrained brushstrokes and layered emptiness.

  2. The House as Art – Introducing the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useum building itself—once a 1930s residential home and now a cultural site.

  3. Media Installation “Scenery of Mountains and Streams” – A new interpretation of Park’s love for suiseki (scholar’s rocks), recreated through media artist Park Yu-seok’s sound and visual installation, inviting viewers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spiritual landscapes Park cherished.

As I moved through the exhibition, the phrase “life is but a fleeting spring dream” (iljangchunmong) kept returning to me.
The artist’s longing for peace in nature, and the spiritual solitude of a scholar’s life, was gently woven into each work and space.
I was reminded of his pieces I had see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Gwacheon—noticing once again the quiet elegance and sincerity of his style.

Park No-Soo (1927–2013) – Bridging Tradition and Modernity

Born in Yeongi County (now part of Sejong City), Park No-Soo studied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pprenticed under several masters of Korean painting.
He went on to receive the Prime Minister’s Prize in 1953 and the President’s Prize in 1955, among numerous national honors. He also served as a professor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later became a member of the Korean Academy of Arts.

His works blend traditional subject matter with bold brushstrokes and vibrant colors, creating a distinctive style that reinterprets Korean aesthetics in a contemporary context.
Even while bedridden in 2011, he made the generous decision to donate his house and artworks to Jongno District, leading to the museum’s founding in 2013.

Visitor Information

  • Exhibition: Ganwon Diary (艮園日記)

  • Dates: May 10, 2024 – July 31, 2025

  • Hours: 10:00 AM – 6:00 PM (Last admission: 5:30 PM)

  • Closed: Mondays, January 1, Lunar New Year & Chuseok holidays

  • Address: 34, Ogin 1-gil, Jongno-gu, Seoul

  • Phone: +82-2-2148-4171

  • Notes:

    • Shoes must be removed upon entry due to heritage preservation.

    • Admission is limited to 15 people at a time.

    • No parking on site—please use public transportation.

    • No photography allowed inside the museum.

Recommended for

  • Those who wish to experience art in the very space it was created

  • Visitors seeking harmony between architecture, nature, and artistic spirit

  • Anyone who appreciates minimalism, contemplation, and cultural depth


One-sentence summary


At Park No-Soo Art Museum, the boundary between artwork and life fades, inviting us to step into the artist’s timeless worl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