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art place < 백남준 아트센터 NamJun Paik Art Center >

 


백남준을 다시 만나는 곳, 용인의 백남준아트센터

서울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백남준아트센터(Nam June Paik Art Center)는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철학과 예술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미술관이다.
2008년에 개관한 이곳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백남준의 실험정신과 동시대 미디어아트의 흐름을 함께 탐색할 수 있는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다.


백남준은 누구인가?

백남준(1932–2006)은 한국 출신의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로, 비디오 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인물이다. 음악과 철학, 기술을 넘나들며 예술의 영역을 확장했고, 텔레비전과 영상 매체를 예술 도구로 활용해 시대를 앞서간 실험들을 선보였다.
그의 작업은 단순한 시각예술을 넘어, 기술에 대한 질문, 소통에 대한 실험, 세계와 인간에 대한 사유를 담고 있으며, 오늘날 디지털 아트와 뉴미디어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관람 정보

  • 위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백남준로 10

  • 운영 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입장 마감 오후 5시 30분)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연휴

  • 입장료: 상설 전시 무료, 기획 전시는 유료 (전시마다 상이)


주요 전시와 공간 구성

1. 상설 전시: 백남준의 대표작

<TV 부uddha>, <The Rehabilitation of Genghis Khan>, <TV Garden> 등 그의 대표작이 전시되어 있다. 비디오, 조각, 설치 등 다양한 형식의 작업을 통해 백남준이 기술과 예술을 어떻게 결합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다.

2. 기획 전시

백남준의 영향을 받은 국내외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전시가 정기적으로 열리며, 그의 작업을 동시대적으로 다시 해석하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다양한 미디어와 기술을 활용한 작품들을 통해 현재 미디어 아트의 흐름도 함께 체험할 수 있다.

3. 영상 아카이브 & 라이브러리

백남준의 작업 과정과 철학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관람객을 위한 자료 열람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인터뷰 영상, 다큐멘터리, 작품 스케치 등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어, 학습과 연구의 공간으로도 기능한다.


짧은 감상

기술과 예술, 철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백남준은 늘 시대를 앞서간 예술가였다. 그의 작품은 낯설지만 기묘하게 익숙하고, 때론 유쾌하면서도 깊이 있는 메시지를 던진다.
백남준아트센터는 그런 그의 정신이 계속 살아 움직이는 곳이다. 미디어아트에 관심 있는 사람은 물론,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색다른 자극을 받고 싶은 사람에게도 추천하고 싶다.





Re-encountering Nam June Paik in Yongin: Nam June Paik Art Center

Located in Giheung-gu, Yongin City, about an hour’s drive from Seoul,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is the only museum in Korea dedicated to exploring the artistic philosophy and world of Nam June Paik, the founder of video art.
Since its opening in 2008, the center has served not just as an exhibition space, but as a dynamic cultural venue where Paik’s experimental spirit and contemporary media art converge.


Who Was Nam June Paik?

Nam June Paik (1932–2006) was a Korean-born, world-renowned media artist and the pioneer of video art. He expanded the boundaries of art by integrating music, philosophy, and technology. Using television and video as artistic tools, he led groundbreaking experiments that were ahead of his time.
Paik's works go beyond visual art, posing profound questions about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the human condition. His influence continues to shape digital and new media art today.


Visitor Information

  • Location: 10, Baeknamjun-ro,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

  • Opening Hours: 10:00 AM – 6:00 PM (Last admission at 5:30 PM)

  • Closed: Every Monday, January 1st, Lunar New Year & Chuseok holidays

  • Admission: Free for permanent exhibitions; fees vary for special exhibitions


Exhibition Highlights

1. Permanent Exhibition: Paik’s Iconic Works

Key works such as "TV Buddha," "The Rehabilitation of Genghis Khan," and "TV Garden" are on display. Through video, sculpture, and installation pieces, visitors can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Paik merged art and technology.

2. Special Exhibitions

Rotating exhibitions feature artists from Korea and abroad who were influenced by or reinterpret Paik's legacy. These shows often incorporate diverse technologies and offer fresh perspectives on media art in the contemporary context.

3. Video Archive & Library

The center also houses an archive and library where visitors can explore documentary footage, interviews, sketches, and other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Paik’s work. It’s a quiet space for learning, reflection, and deeper engagement with his practice.


Brief Reflection

Nam June Paik was an artist who stood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rt, and philosophy—always ahead of his time. His work feels at once unfamiliar and strangely familiar, often playful yet deeply thought-provoking.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is a space where his visionary spirit continues to live on. Whether you’re a media art enthusiast or someone simply looking for a break from routine, this place offers a refreshing and meaningful experienc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