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옥승철 Ok Seung Cheol, OKAY >

 


OKAY (옥승철) – 디지털 시대의 정서를 회화로 기록하다

OKAY는 본명 옥승철(Ok Seungcheol, b.1988) 작가가 사용하는 예명입니다.
그의 회화는 팝아트와 스트리트 아트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디지털 문화와 대중 이미지를 결합해 강한 시각적 인상을 남깁니다.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익숙한 시각 언어를 활용하지만, 그 안에 동시대의 정서와 복합적인 메시지를 담아내는 방식은 젊은 세대와의 공감대를 자연스럽게 형성합니다.

디지털 감성과 회화의 경계에서

OKAY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기반의 벡터 드로잉에서 출발합니다.
이 디지털 이미지는 이후 아크릴을 사용한 회화로 옮겨지며, 빠르고 가벼운 디지털 감각이 아날로그 회화의 과정을 거쳐 다시 정제됩니다.
그 결과물은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밀도 있는 화면을 만들어내며, 디지털과 아날로그, 소비와 사유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유의 회화 언어를 완성합니다.

작가는 이러한 방식을 ‘디지털 시대의 회화적 실험’이라고 설명합니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캐릭터, 대담한 색채, 정적인 화면 구성은 단순히 ‘예쁜 이미지’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 개인이 정체성을 구성하고 이미지를 소비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관객은 어느 순간, 자신이 무심코 스크롤하던 이미지의 세계 안에서 방향을 잃고 서 있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미지 시대에 남겨진 질문

OKAY의 작업은 SNS, 특히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확산되며 ‘인스타그래머블’한 이미지로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그의 작업을 조금 더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디지털 피로감, 정체성의 해체, 시각 이미지의 범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녹아 있습니다.

화려하고 익숙한 이미지 속에서도, 작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감정과 흔적을 진지하게 포착합니다.
그의 회화는 대중의 시선에 길들여진 이미지 속에서도 예술이 여전히 묻고, 사유하게 만드는 힘을 보여줍니다.

활동과 확장

2017년 밴드 ADOY의 앨범 커버 작업으로 대중문화 속에서 이름을 알린 OKAY는 이후 아트선재센터 개인전 등을 통해 현대미술의 제도권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이미지와 회화를 결합하는 그의 독자적인 작업 방식은 국내외 미술계에서 동시대적 감각을 지닌 작가로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다지고 있습니다.


이 작가의 화면을 마주하며, 어떤 감정을 느끼셨나요?
빠르게 흘러가는 이미지의 세계 속,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감정과 정체성의 흔적을 OKAY의 회화는 조용히 되묻고 있습니다.





OKAY (Ok Seung Cheol) – Painting the Sentiments of the Digital Age

OKAY is the pseudonym of artist Ok Seungcheol (b.1988).
Rooted in pop art and street art, his paintings blend digital culture with popular imagery, leaving a strong visual impression.
By using familiar visual languages—such as Japanese anime characters—he reflects contemporary emotions and layered messages, resonating deeply with younger generations.

Between Digital Sensibility and Painterly Expression

OKAY’s creative process begins with vector drawings using Adobe Illustrator.
These digital sketches are then transformed into acrylic paintings, where the fast and light quality of digital images is refined through the slow, deliberate process of analog painting.
The resulting works offer visual pleasure while also conveying a painterly density—an interplay between digital and analog, consumption and contemplation.

The artist describes this approach as a “painterly experiment in the digital age.”
Recurring characters, bold colors, and static compositions go beyond simply being ‘aesthetic images.’ Instead, they prompt questions about how individuals construct and consume their identities today.

At some point, viewers may find themselves standing lost within a world of images they casually scroll through each day.

Questions Within the Age of Images

OKAY’s work has spread widely across social media, particularly Instagram, and is often cited as an example of “Instagrammable” art.
However, looking closer reveals a deeper layer—one that captures digital fatigue, fragmented identities, and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flood of visual imagery.

Even within images we might scroll past without thought, the artist quietly records emotions of the moment and traces of what it means to live as an individual in this era.
His paintings remind us that even in a world saturated with familiar imagery, art can still ask meaningful questions and provoke reflection.

Practice and Expansion

OKAY first gained recognition through his 2017 album cover artwork for the band ADOY.
Since then, he has continued to establish a presence within institutional contemporary art spaces, including a solo exhibition at Art Sonje Center.
Through his unique method of combining digital images with traditional painting, OKAY is drawing attention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as a contemporary artist with a fresh visual language.


What kind of emotions did you feel while looking at this artist’s work?

In a world overflowing with fleeting images, OKAY’s paintings gently ask us to reconsider the feelings and identities we may have overlooke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