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이응노 Lee Ungno >

 

이응노 - 군상 / 직접 촬영


동양의 붓과 서양의 추상 사이 — 이응노

이응노(1904–1989)는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에서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펼친 예술가입니다. 문인화로 시작해 추상으로 나아간 그의 예술은 한국 현대미술의 큰 흐름을 이끈 동시에, 작가 개인의 치열한 사유와 시대의 굴곡을 함께 품고 있습니다.


삶의 궤적 위에서

충남 홍성에서 태어난 이응노는 서당에서 서예와 한문을 익히며 문인화의 세계에 들어섰습니다. 젊은 시절 김규진의 문하에서 대나무를 그리며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한 그는, 이후 일본 유학을 통해 동양화뿐 아니라 서양화의 기법도 체득하게 됩니다.
이후 한국전쟁 전후의 격변기를 지나며 그는 점점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본질적이고 보편적인 조형언어를 모색하게 됩니다.

1958년, 프랑스 파리로 향한 이후 그의 작업은 완전히 새로운 단계에 들어섭니다. 종이를 찢고 붙이며 구성한 콜라주, 문자를 조형화한 문자추상, 집단의 감정을 표현한 군상 시리즈는 모두 이응노가 만들어낸 독립적인 미학의 경계입니다.


찢고, 붙이고, 해체한 언어들

이응노의 작품은 늘 종이에서 출발합니다. 한지를 찢고, 잉크와 물감을 얹으며 재료가 가진 질감을 그대로 살리는 방식은, 단순한 평면을 넘어선 조형적 깊이를 가집니다.
그의 문자추상은 한자와 한글, 고문자 등을 해체해 기호처럼 재조합한 것으로, 언어와 시각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1980년대 군상 연작은 작가가 감옥에서 겪은 체험과, 그로부터 비롯된 사회적 고뇌를 묵직하게 담아냅니다. 수많은 선들이 겹쳐진 화면은 개별의 인물이면서도 하나의 흐름처럼 보이며, 억눌린 시대 속 집단의 감정과 연대를 그려냅니다.


전통 위에 선 실험

이응노의 작업은 단순히 서양의 추상을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문인화의 정신과 기법을 현대적으로 변주한 데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완성보다는 과정, 형상보다는 감각, 규칙보다는 흐름을 중시하는 그의 작업은 동양적 사고와 서구적 표현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듭니다.

그는 늘 질문을 던졌습니다. ‘붓을 내려놓고도, 그림을 그릴 수 있는가?’ ‘문자를 해체했을 때, 그것은 여전히 언어일 수 있는가?’
당신은 그의 작품 앞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시나요?


작가를 만나는 공간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이응노미술관은 그의 예술세계를 가장 온전히 마주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프랑스 건축가 로랑 보도앵이 설계한 이 건물은 자연광과 어우러진 전시 공간 속에서 관람자의 시선을 천천히 끌어당깁니다.
최근에는 문자추상과 군상 연작을 주제로 한 몰입형 전시도 열리고 있으며, 프랑스와의 교류 전시 또한 활발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말

이응노는 고요한 필선 하나로 거대한 시대를 꿰뚫은 작가였습니다.
그가 그린 것은 단지 그림이 아니라, 언어 이전의 언어이며, 삶의 가장 본질적인 울림이었습니다.

글을 다 쓰고 나서, 문득 이응노의 작품 한 점 앞에 오래 머물고 싶어졌습니다. 완전한 이해보다는, 그저 감정을 따라 한 줄의 선을 더듬어 보는 마음으로.



이응노 - 문자 추상 / 직접 촬영


Between Ink and Abstraction — Lee Ungno

Lee Ungno (1904–1989) was an artist who bridged tradition and modernity, East and West, with a singular visual language. Beginning with classical literati painting, he transitioned into abstraction, leaving an indelible mark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rt. His journey — from bamboo brushstrokes to crowds of ink lines — speaks not only of artistic innovation but also of personal conviction shaped by a turbulent era.


A Life Drawn in Layers

Born in Hongseong, South Korea, Lee Ungno was first introduced to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calligraphy at a local Confucian school. Under the tutelage of master Kim Kyu-jin, he honed his skills in traditional ink painting, and by 1924, he had already made his debut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with his bamboo work Cheongjuk.

His pursuit of artistic depth led him to Japan in the 1930s, where he studied both Eastern and Western painting. In the years following the Korean War, he gradually shifted away from realism and began to explore abstraction — a path that would fully unfold after his move to France in 1958.

Settling in Paris, he embraced a radical new phase of experimentation, working with collage, deconstructed scripts, and densely layered ink drawings that captured the collective energy of the human condition.


Tearing, Layering, Unwriting

Lee’s works often began with paper — torn, layered, stained with ink and pigment. His collage pieces, built from newspaper, fabric, and handmade paper, reveal a textured, almost tactile sense of rhythm.

In his Calligraphic Abstraction, Lee transforme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to visual symbols, dissolving their linguistic meaning to explore pure form and movement.

The Crowd series from the 1980s — dense with repetitive, calligraphic strokes — channels a deep, collective pulse. These works, born from personal suffering and political oppression, are less about individuals and more about the energy of people in unity, in uprising, in grief.


Tradition Reimagined

Lee Ungno’s art was not about rejecting tradition, but about expanding it. He adapted the contemplative spirit of ink painting to a modern idiom — prioritizing process over perfection, gesture over geometry, and openness over definition.

His works ask subtle, powerful questions:
Can you still paint, even without a brush?
When letters are stripped of meaning, do they still speak?

What do you feel when you stand before one of his pieces?


A Space to Meet the Artist

The Lee Ungno Museum in Daejeon offers the most intimate encounter with his work. Designed by French architect Laurent Beaudouin, the museum is filled with soft natural light and spaces that invite quiet reflection.
Recent exhibitions have explored his calligraphic abstractions and immersive light installations inspired by his late works, strengthening cultural ties between Korea and France.


A Closing Thought

Lee Ungno was not merely a painter — he was a seeker.
Each stroke he made was not just ink on paper, but a quiet act of resistance, of remembrance, and of renewal.

Finishing this writing, I find myself wanting to stand in front of one of his works for a long while — not to fully understand it, but to feel what it leaves behind in silenc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