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박서보 Park Seo Bo >

 




박서보 | Park Seo-Bo

절제와 수행의 미학, 단색화의 길

“나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한다.”
박서보는 한국 단색화(Dansaekhwa)의 선구자로,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자신만의 철학과 조형 언어를 구축한 작가입니다.
1929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태어나, 한국전쟁과 분단이라는 시대적 격동을 겪으며 작가로서의 길을 걸었습니다.
그는 '그리기'보다는 '되새김'과 '행위'에 가까운 회화를 통해, 예술을 통한 사유와 수행의 태도를 실천해왔습니다.


단색화의 길

1970년대 초반, 박서보는 서구 추상표현주의의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반복과 절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회화 작업을 시도했습니다.
그가 주도한 단색화는 캔버스를 단일 색으로 덮고,
지속적인 행위를 통해 화면에 질서와 시간의 흔적을 남기는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한 형식 실험이 아니라, '예술을 통한 ‘수행’이라는 작가의 인식에 기반한 깊이 있는 창작 과정이었습니다.
박서보에게 있어 이러한 작업은 내면을 비우고 사유를 이어가는 하나의 예술적 태도였습니다.


묘법(描法) 시리즈

박서보의 대표작인 묘법(Écriture) 시리즈는 그의 수행적 회화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업입니다.
1967년경 시작된 이 시리즈는, 젖은 한지 위에 연필이나 도구를 이용해
선을 반복적으로 그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작가는 이 작업을 “글을 쓰듯이 몸을 움직이며 화면과 대화하는 수행”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감정적 표현을 최대한 배제하고, 손의 움직임과 재료의 저항 사이에서
형태보다는 시간의 리듬과 감각을 담아내는 데 집중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부터는 색채의 사용이 점차 풍부해졌고, 물감을 바른 표면 위에 나무 막대 등으로 선을 그으며 보다 물질적이고 공간감 있는 화면을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점차 빛과 호흡, 시간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 감각적 공간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삶과 예술의 통합

박서보는 예술을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수행적 태도로 이해했습니다.
그림은 자아를 드러내는 수단이 아니라, 자신을 다듬고 비우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과정이었습니다.
그는 “나는 자연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닮고자 한다”고 말하며
자연 중심의 질서와 동양적 미학을 예술 속에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그에게 예술은 특별한 순간의 표현이 아니라,
삶의 반복 속에서 축적되는 감각과 태도에 가까웠습니다.


세계 미술계에서의 조명

박서보는 한국 현대미술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해 온 작가입니다.
2010년대 이후, 단색화가 국제 미술계에서 조명을 받으면서
그의 작품은 파리, 런던, 뉴욕, 홍콩 등 세계 주요 도시의 전시장에서 소개되었고
국내외 여러 미술관에 소장되었습니다.

그는 단색화의 물리적, 철학적 깊이를 보여주는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미학을 세계 무대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조용한 회화, 깊은 사유

박서보의 작업은 소리 없이 깊은 울림을 남깁니다.
감정을 억제한 반복적 행위를 통해, 오히려 감각은 확장되고
화면 위에 쌓이는 시간은 관람자의 내면을 사유로 이끕니다.

그의 화폭은 색과 선, 여백과 질감이 만나
빛과 시간의 장(場)을 형성하고,
관람자는 그 앞에서 조용히 자신의 감각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박서보의 회화는 ‘그리는 그림’이 아니라,
시간과 행위가 축적된 ‘살아 있는 공간’입니다.
그는 예술을 삶의 일부이자 수행의 방식으로 남겨두었습니다.



박서보 - 단색화 / 직접 촬영


Park Seo-Bo 

The Aesthetics of Discipline and Repetition in Dansaekhwa

"I don’t paint—I perform a practice."

Park Seo-Bo (1929–2023) was a pioneering figure in Korean contemporary art and a central force in the development of Dansaekhwa, or Korean monochrome painting.
Born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he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and national division, which deeply shaped his path as an artist.
Rather than approaching painting as a form of expressive image-making, Park embraced it as an ongoing process of reflection—an act closer to discipline and repetition, which he often referred to as a form of artistic "practice".


The Path of Dansaekhwa

In the early 1970s, Park moved away from the emotionally charged nature of Western abstract expressionism,
choosing instead to explore the aesthetics of repetition and restraint.
His work in Dansaekhwa involved layering canvases with a single color and applying systematic gestures across the surface.
These acts were not simply formal experiments, but part of what he described as an artistic practice rooted in Eastern philosophy
a meditative process shaped by patience, control, and the quiet accumulation of time.


The Écriture Series (Myobop, 描法)

Park’s best-known body of work, the Écriture (Myobop) series, began around 1967.
The term “Myobop,” which translates to “the law or method of drawing,” was his Korean rendering of the French word écriture, meaning “writing.”
In this series, Park repeatedly drew lines across wet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using pencils or tools,
carving delicate grooves into the surface through steady, physical movement.

He often likened this process to writing as a form of practice—a physical and mental dialogue with the surface.
Emotion was deliberately minimized; instead, the rhythm between the hand and material revealed a deeper harmony with nature.
From the 1980s onward, Park introduced more color and developed new techniques, applying pigment and using wooden tools to draw lines.
As a result, his paintings evolved into sensory fields layered with light, breath, and time.


Art as a Way of Life

For Park Seo-Bo, art was not separate from life—it was a disciplinary and contemplative attitude woven into everyday practice.
Painting was not about expressing the self, but about emptying the self and aligning with the natural order.
He once said, “I do not imitate nature—I seek to resemble it,”
emphasizing his pursuit of a nature-oriented, rather than human-centered, approach to art.

His work reflects this sensibility, capturing a rhythm that flows quietly between nature and time.


Expanding the Reach of Korean Art

Park Seo-Bo played a key role in bringing Korean contemporary art to the global stage.
From the 2010s onward, Dansaekhwa gained significant international attention,
and Park’s works were exhibited in major cities including Paris, London, New York, and Hong Kong.
They have since been acquired by prominent museums both in Korea and abroad.

Through his work, Park introduced international audiences to the philosophical and material depth of Dansaekhwa,
firmly establishing himself as a foundational figure in the global discourse on Korean abstraction.


Paintings that Whisper, Not Shout

Park’s paintings do not speak loudly—but they resonate deeply.
By removing expressive gestures and embracing quiet repetition,
his practice invites viewers to engage with the silent accumulation of time.
On the canvas, lines, colors, textures, and space come together to form fields of light and contemplation.

Standing before one of his works, one is not only looking—but also listening, reflecting, and sensing.
Park Seo-Bo’s art is not painted in the conventional sense; it is layered, lived, and practiced.
Through this enduring approach, he left behind more than images—he left behind a way of seeing, thinking, and being.



박서보 - 묘법 / 직접 촬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