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일상과 인간미를 그린 화가
박수근(朴壽根, 1914–1965)은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로, 전쟁과 가난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평범한 삶의 아름다움을 담아낸 작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투박한 질감과 단순한 형태로 깊은 감동을 전하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일상의 사람들, 평범한 풍경
박수근의 그림에는 화려한 색채나 극적인 구성이 없습니다. 대신 빨래하는 아낙, 앉아 있는 노인, 길을 걷는 아이 등 평범한 일상이 주를 이룹니다. 그가 그린 인물들은 얼굴의 세부 묘사보다는 전체적인 형태와 분위기로 표현되며, 그 안에 담긴 따뜻한 시선이 관람객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는 그가 “나는 인간을 그리는 화가”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그는 사회적 약자와 서민들의 삶에 주목했고, 그 안에서 느껴지는 강인함과 존엄성을 화폭에 담았습니다.
독창적인 화풍: '석화법(石畵法)'
박수근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거칠고 두꺼운 질감입니다. 마치 화강암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마티에르는 그만의 서정적이고도 강건한 분위기를 만들어 냅니다. 이는 그가 고안한 '석화법(石畵法)'이라 불리는 기법으로, 두터운 물감을 쌓고 긁어내며 재료 자체의 질감을 강조한 표현 방식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한국의 전통적인 미감과도 연결됩니다. 화려함보다는 절제된 색감, 단단하고 묵직한 분위기 속에서 은근한 감동을 주는 점은 동양화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박수근의 예술을 사랑한 현대의 감상자, BTS RM
박수근의 작품은 단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는 예술입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BTS의 RM(김남준)입니다.
RM은 다양한 전시와 예술가에 대한 관심으로 ‘미술을 사랑하는 뮤지션’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가 특히 애정을 보이는 작가 중 한 명이 박수근입니다. 그는 박수근의 작품을 “자꾸만 바라보게 되는 그림”이라고 말하며, 투박하고 단단한 화폭에서 전해지는 에너지와 위로에 큰 감동을 받았다고 언급했습니다.
RM은 박수근이 담아낸 일상의 장면들이 소박하지만 강한 울림을 준다고 말하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감정”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의 미술적 안목도 인상적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RM 역시 박수근이 바라봤던 ‘사람’과 ‘삶’에 대한 시선을 지금 우리 시대에도 공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박수근의 그림은 여전히 묵묵히 말하고 있습니다. 소란스러운 세상 속에서 ‘당신의 삶도 괜찮다’고. 그리고 그런 메시지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더욱 깊은 위로와 힘이 되어줍니다.
전쟁 속에서도 지켜낸 예술
박수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모두 겪으며 시대의 고난을 고스란히 체험한 세대입니다. 전쟁 후, 그는 미군 PX에서 초상화를 그리며 생계를 이어갔고, 틈틈이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갔습니다. 생전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그의 작품은 점차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1964년에는 제3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한국 대표로 참여했고, 1965년에는 《나무와 두 여인》으로 국전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그의 예술적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같은 해, 위암으로 생을 마감하며 아쉽게도 짧은 생애를 마무리했습니다.
한국 미술사에서의 위치
박수근은 ‘근대의 눈으로 전통과 민중의 삶을 바라본 작가’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작품은 한국의 근현대사, 특히 1950~60년대의 서민적 정서를 가장 잘 담아낸 예술로 여겨집니다.
최근에는 그의 작품이 경매에서 고가에 낙찰되며 미술계뿐 아니라 대중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박수근의 예술은 단순한 자산 가치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그의 그림을 마주한 많은 이들이 "소박하지만 깊은 울림이 있다"고 말하는 이유는, 바로 그가 담아낸 ‘사람’과 ‘삶’의 힘 때문입니다.
참고로, 박수근미술관(강원도 양구군)에 방문하면 작가의 생애와 대표작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습니다. 박수근이 자란 환경과 지역의 정서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공간으로, 조용한 여행지를 찾는 이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곳입니다.
Park Soo Keun: An Artist Who Captured the Humanity of Everyday Korean Life
Park Soo Keun (1914–1965)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figures in modern Korean art. Living through times of war and hardship, he portrayed the dignity and quiet strength of ordinary people. His paintings, marked by rough textures and simple forms, continue to move viewers with their sincerity and depth.
Ordinary Lives, Quiet Beauty
Park Soo Keun's art does not rely on vibrant colors or dramatic compositions. Instead, he painted scenes of everyday life — women doing laundry, elderly people resting, children walking along the street. Rather than focusing on detailed facial features, he captured the essence and warmth of his subjects through simplified forms and silhouettes.
“I am a painter of people,” Park once said. His works reflect a deep compassion for the lives of common folk, highlighting their strength, grace, and dignity amid difficult circumstances.
A Unique Artistic Style: Seokhwa-beop (Stone Painting Technique)
One of Park’s most recognizable artistic signatures is the thick, coarse texture of his paintings. Often compared to granite, this surface quality gives his works a sense of weight and stillness. This style, known as seokhwa-beop (stone painting technique), involves layering and scraping paint to create a distinctive materiality and tactile presence.
Park’s restrained use of color and emphasis on texture also reflect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 subtle, grounded, and quietly powerful rather than flamboyant or decorative.
BTS RM and Park Soo Keun: A Connection Beyond Time
Park’s paintings are not just reflections of the past — they resonate deeply with the present. A notable example of this is BTS leader RM (Kim Namjoon), who has openly expressed his admiration for Park’s work.
RM, known for his deep appreciation of art and frequent museum visits, once said he finds himself drawn to Park's paintings because “even though they depict nothing special, you can’t stop looking at them.” He sees strength and beauty in the simplicity of everyday life, much like Park did decades earlier.
RM’s artistic insight is often praised, but what’s more meaningful is the way he connects with Park’s view of people and life. He has noted how Park’s work feels essential for today’s fast-paced world — offering quiet energy, comfort, and a kind of emotional grounding.
For RM, Park’s paintings are not only aesthetically powerful but emotionally restorative. The rough textures and humble scenes speak to the resilience and grace of life itself — a message that feels especially relevant in our current times.
Creating Art Amid War and Struggle
Park Soo Keun lived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the Korean War. In the years following the war, he supported his family by painting portraits of American soldiers at the PX, while continuing to develop his own artistic voice.
Though he wasn’t widely recognized during his lifetime, his work gradually gained appreciation both in Korea and abroad. In 1964, he represented Korea at the São Paulo Biennial, and in 1965, he received the Grand Prize a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Sadly, he passed away later that same year due to stomach cancer.
His Legacy in Korean Art
Park is often described as a painter who viewed tradition and the lives of the people through a modern lens. His works are considered some of the most poignant visual records of Korea’s postwar era — capturing the spirit of the 1950s and ’60s with a quiet intensity.
In recent years, his paintings have fetched high prices at art auctions, reflecting renewed public interest. Yet the true value of Park’s art lies beyond its market worth. Viewers often describe his works as "unassuming yet deeply moving" — a testament to his ability to convey the enduring strength and humanity of ordinary people.
If you’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the artist, the Park Soo Keun Art Museum in Yanggu, Gangwon Province — his hometown — offers a deeper look into his life, surroundings, and most iconic works. It’s a quiet, meaningful destination for anyone seeking reflection and inspiratio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