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ist < 이배 Lee Bae >


 


이배 – 숯, 불, 그리고 흔적의 미학

검은 표면. 가까이 다가가면 숯 특유의 질감이 거칠게 일렁이고, 멀리서 바라보면 하나의 덩어리처럼 깊은 침묵을 드리운다.
이배(Lee Bae)의 작업은 시각을 압도하기보다는 조용히 침투한다. 겉으로 드러나는 강렬함보다, 그 안에 쌓인 시간과 수행의 결이 더 오래 마음에 남는다.

숯을 만난 작가

1990년대 초, 프랑스로 활동 무대를 옮긴 이배는 언어도 낯설고 시선도 불확실한 타국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표현을 다시 고민하게 되었다. 그 무렵, 그가 발견한 재료가 바로 '숯'이었다.
숯은 나무가 불을 지나 남긴 가장 순수한 형태다. 생명을 가졌던 재료가 불을 거쳐 무로 돌아가는 과정.
이배는 그 재를 통해 한국적인 정신성과 자연의 순환, 존재의 흔적에 집중하기 시작한다.

불, 정화의 기억

작가에게 숯은 단순한 재료가 아니다.
어린 시절 기억 속 ‘달집 태우기’ 풍경은, 숯을 작업의 중심으로 삼게 된 배경이 된다. 정월대보름 밤, 마을 사람들이 모여 커다란 나무더미에 불을 붙이던 장면.
그 불은 파괴의 불이 아닌, 새해의 안녕과 소망을 비는 의식이었다.
이 기억은 그에게 '불'이 단순한 에너지가 아닌 하나의 정신성으로 자리 잡게 했다.
숯은 그렇게 타오름의 끝에서 남은 물질이자,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재료가 되었다.

검은 색면 위의 시간

그의 대표작은 숯 조각을 하나씩 캔버스 위에 붙여 만든 일련의 추상 시리즈다.
작품 앞에 서면, 우리가 보게 되는 것은 검은색 그 자체가 아니라, 수많은 층으로 쌓인 시간이다.
숯의 질감과 깊이는, 단색화처럼 단순하게 보이면서도 가까이 들여다보면 전혀 다른 결을 품고 있다.

이배에게 숯 작업은 재료를 다루는 단계를 넘어 일종의 수행이다.
나무를 채취하고, 불을 붙이고, 식히고, 다시 나르고, 붙이는 과정 하나하나가 작가에게는 의식에 가까운 반복이며 집중이다.
그 결과물은 검은 색면 위에 쌓인 시간의 기록이다.

단색화와는 다른 궤적

이배는 종종 한국의 단색화 작가들과 비교되곤 하지만, 그의 작업은 분명히 다른 지점을 향하고 있다.
단색화가 물성과 반복을 통해 사유의 세계를 펼쳤다면, 이배는 숯이라는 재료 안에 깃든 정신성과 생태성에 더 집중한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넘어서, 그것이 지닌 상징과 기억, 철학의 층위로 확장된다.

세계 무대에서의 주목

이배는 지난 수년간 세계 여러 도시의 주요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그는 ‘숯’이라는 로컬한 재료를 보편적 감각과 철학으로 풀어내며, 동시대 미술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Issu du feu》(불에서 비롯된), 2021, 파리 국립도서관: 숯의 철학을 다양한 매체로 확장한 전시로, 불교적 수행과 프랑스 개념미술 사이를 잇는 작업이 주목받음

  • 《Brushstroke》, 2023, 뉴욕 페로탱 갤러리: 숯을 붓처럼 사용한 거대한 스트로크 작업으로, 동양 서예의 기운과 추상표현주의의 자유가 공존

  • 《Promenade》, 2023, 라스베이거스 아라스모어 뮤지엄: 설치와 회화가 함께 구성된 전시로, 미국 관람객에게 숯이라는 재료의 새로운 미학을 소개함

흔적을 남기다

이배의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넘어 무언가 더 깊은 결로 다가온다.
그것은 어쩌면 작가가 불을 통과하며 남긴 흔적이자, 삶이 스스로 기록한 시간의 표면일지도 모른다.

숯은 타고 사라지지만, 그 자리에 남겨진 무언가는 오래도록 머문다.
말보다 느리게, 그러나 더 깊게 전해지는 울림.
이배의 작업은 그 조용한 감각을 품고 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단색의 깊이에 잠겨 조용한 감상을 하고 싶은 분

  • 한국적 사유를 담은 현대미술에 관심 있는 분

  • 재료 너머의 철학적 층위에 주목하는 분


한 줄 요약

숯이라는 가장 검은 재료로, 가장 깊은 존재의 흔적을 새기는 작가






Lee Bae – Charcoal, Fire, and the Aesthetics of Traces

A black surface. Up close, the rough texture of charcoal flickers subtly; from a distance, it appears as a deep, silent mass.
The work of Lee Bae doesn’t shout—it lingers. It doesn't overwhelm the senses but quietly penetrates, leaving a lasting impression through its layers of time and discipline.

Discovering Charcoal

In the early 1990s, Lee Bae moved his artistic practice to France. Immersed in a foreign language and unfamiliar cultural context, he found himself reexamining his identity and modes of expression.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he encountered charcoal—a material formed by fire, carrying the memory of what once lived.
For Lee, charcoal wasn’t just a medium, but a vessel containing Korean spirituality, natural cycles, and the aesthetics of absence.

Fire as Memory

Charcoal, to Lee Bae, is never just a material.
One of his earliest memories—watching a traditional Korean daljip-burning ritual—left a deep impression on him.
During this ceremony, large wooden structures are set ablaze during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symbolizing wishes, cleansing, and new beginnings.

This memory redefined fire for the artist—not as destruction, but as purification and hope.
Charcoal, in this sense, is a trace left behind by fire, a material poised between an ending and a new beginning.

Time Embedded in Black

Lee’s signature works are abstract compositions where individual charcoal fragments are carefully adhered to canvas.
Standing before them, one doesn’t simply see the color black, but the accumulation of time—layer upon layer of silent effort.
The textures appear as one unified surface from afar, but up close, each fragment tells its own story.

To Lee, the entire process—gathering wood, burning it, cooling the pieces, transporting and arranging them—is a form of ritual and endurance.
The resulting artwork becomes a record of that journey, rather than a mere object.

A Path Distinct from Dansaekhwa

Though Lee Bae is often associated with Korean Dansaekhwa painters, his artistic path diverges in meaningful ways.
While Dansaekhwa emphasized repetition, materiality, and meditative processes, Lee's focus lies in the symbolism and ecological meaning of charcoal.
He approaches it not just as a material, but as a philosophical and cultural signifier, expressing an Eastern way of thinking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global art.

Global Recognition

Over the past decade, Lee has held numerous exhibitions across the world, redefining the materiality of charcoal within contemporary art.

  • “Issu du feu” (Born of Fire), 2021,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BnF), Paris: A large-scale solo exhibition exploring the philosophy of fire across various media, bridging Buddhist discipline and French conceptualism.

  • “Brushstroke”, 2023, Perrotin Gallery, New York: Bold strokes created with chunks of charcoal, evoking the spirit of East Asian calligraphy and abstract expressionism.

  • “Promenade”, 2023, Aria Art Museum, Las Vegas: An immersive show combining installations and paintings, introducing American audiences to the poetic materiality of charcoal.

Traces That Remain

Lee Bae’s work is striking at first glance, yet it reveals its true power slowly.
Beyond visual aesthetics, his art speaks of a quiet endurance, of life passing through fire and leaving behind a mark.

Charcoal burns away, but its trace remains.
And in that trace, we sometimes find a depth no words can reach.
Lee’s practice is not just about form—it’s about the echo of existence, left behind in black.

Recommended For

  • Those drawn to the quiet intensity of monochrome works

  • Viewers interested in Korean philosophy expressed through modern art

  • Anyone curious about the symbolic power of raw materials and their layered meanings

One-Line Summary

An artist who etches the deepest traces of being with the darkest of materials—charcoal.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