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형근 - 청다색 / 직접 촬영 |
고요한 분노, 절제된 울림
윤형근(尹亨根, 1928–2007)
윤형근 작가는 한국 단색화의 대표적인 예술가이자, 참혹한 시대를 온몸으로 통과한 후 고요한 회화 세계에 다다른 인물입니다. 그의 그림은 겉보기에 단순하고 침착하지만, 그 안에는 격렬한 삶의 흔적과 깊은 울분이 조용히 스며들어 있습니다.
1928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윤형근은 일제강점기, 해방, 한국전쟁이라는 격동의 시대를 청년기로 겪었습니다. 1947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했지만, ‘국대안 반대’ 시위에 참여한 뒤 구류 조치 후 제적당했고, 이후 전쟁이 발발하자 과거 시위 전력 때문에 보도연맹에 끌려가 생명을 잃을 뻔한 위기를 가까스로 넘기기도 했습니다.
피란을 가지 않고 서울에 남았다는 이유로 1956년에는 서대문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했고, 유신체제 하이던 1973년에는 미술교사로 재직 중 권력형 입시 비리를 문제 삼았다가 ‘반공법 위반’ 혐의로 투옥되었습니다.
총 세 번의 수감, 한 번의 생사의 기로. 그는 이 경험들을 ‘인생 공부’라 불렀고, 그 모든 고통 이후인 1973년, 마흔다섯의 나이에 비로소 본격적인 작품 제작을 시작합니다.
이 시기부터 그는 스스로의 작업을 ‘천지문(天地門)’, 즉 하늘과 땅의 문이라 명명하며, 자신만의 회화 세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면포나 마포 위에 푸른색(청색)과 갈색(암갈색)을 섞어 만든 오묘한 검정색을 커다란 붓으로 찍어 내리듯 그은 그의 작품은, 한국의 고목, 서까래, 흙담과 같은 전통적 이미지의 질감과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그림의 재료와 형식은 단순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그의 화면은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주장하기보다, 존재 그 자체로 서 있는 조용한 기둥처럼 느껴집니다. 윤형근 작가는 이러한 ‘무심(無心)’한 작업을 통해, 소박하고 겸손하며 듬직한 한국적 미감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현대적 회화 언어로 풀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의 회화는 예술과 인생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절제와 묵묵함으로 일관된 태도는 삶의 굴곡 속에서 더욱 단단해졌고,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화면 위의 깊은 공간은 단순한 조형을 넘어 인간 존재의 밀도를 말해줍니다.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추상화가로서, 그는 감각적인 표현보다 시간과 내면, 품격을 축적해 가는 예술을 추구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어둡고 단조로운 색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오히려 그 속에서 진정성이 또렷이 드러납니다. BTS의 RM, 배우 이승기 등 젊은 세대의 예술 애호가들이 윤형근의 작품에 깊은 공감을 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절제된 색과 형식 속에서도 사람의 내면을 향한 울림이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세대를 초월해 감동을 주는 그의 회화는, 오늘날에도 조용한 방식으로 많은 이들과 교감하고 있습니다.
윤형근 작가는 “아름다움은 겉모습이 아니라 진리에 생명을 거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는 작품이 단순한 기술의 결과가 아니라, 그 사람의 품성과 진실성이 오롯이 반영된 흔적이라고 보았습니다. “인간이 바로 서야 좋은 작품이 나온다”고 강조하며, 거짓 없이 살아가는 자세와 예술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라 여겼습니다. 그의 작업에는 그런 철학이 고스란히 배어 있으며, 작품의 품격은 결국 작가의 품격으로부터 나온다는 믿음은 오늘날까지 깊은 울림을 남기고 있습니다.
윤형근 작가의 작품 앞에서 당신은 어떤 감정을 느끼셨나요?
침묵처럼 펼쳐진 색면 사이에서, 자신의 내면을 마주하는 조용한 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 |
윤형근 - 청다색 / 직접 촬영 |
Silent Anger, Restrained Resonance
Yun Hyong-keun (1928–2007)
Yun Hyong-keun is a leading figure of Korea’s Dansaekhwa (monochrome painting) movement, and an artist who reached a realm of serene abstraction after enduring a life marked by intense historical turmoil. Though his paintings appear quiet and minimal on the surface, they are deeply rooted in a life of suffering, introspection, and resilience.
Born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in 1928, Yun came of ag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1947, he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was expelled after being detained for participating in protests against the government's university reform plans. During the Korean War, his past activism led to his near execution under the suspicion of being affiliated with the Bodo League—a traumatic experience he narrowly survived.
In 1956, he was imprisoned for six months at Seodaemun Prison under allegations of collaboration for remaining in Seoul during wartime. Later, during Korea’s authoritarian Yushin regime in 1973, while working as an art teacher, he was again arrested under the Anti-Communist Law after challenging corruption linked to a powerful political figure.
Three imprisonments and a brush with death marked his life before he fully turned to painting at the age of 45 in 1973—a point he described as the beginning of his true artistic journey.
From this time, Yun developed his signature style, which he named “Gate of Heaven and Earth (Cheonjimun).” His works feature vertical bands of blue and umber, brushed down onto raw linen or cotton. The colors—symbolizing the sky and the earth—are mixed into an inky black, applied with large brushes in repeated, meditative strokes. His paintings evoke the texture of aged wood, traditional Korean roof beams, and the quiet presence of earth—a visual language rooted in Korean tradition yet articulated through a contemporary idiom.
Although the materials and forms are modest, the impact is profound.
Rather than assert a message, Yun’s paintings simply exist—like still pillars of silence. Through a process of restraint and repetition, his work captures a uniquely Korean aesthetic: humble, honest, grounded, and ultimately timeless. His contribution to modern art lies in transforming these values into a universally resonant, minimalist expression.
Yun’s art also shows that life and art cannot be separated. His disciplined approach, shaped by hardship, imbues his works with a profound sense of depth and stillness. Instead of pursuing dramatic visual effects, he created paintings that accumulate time, memory, and inner presence—a quiet resistance against the violence of history, and a space for reflection.
Though his palette is subdued and his forms repetitive, Yun's work continues to resonate with younger generations. Public figures such as BTS's RM and actor Lee Seung-gi have expressed admiration for his paintings. The sincerity embedded in his art transcends color and age. In their quiet presence, viewers find emotional connection and personal contemplation.
Yun once said:
“Beauty is not about colorful appearances. It is about living truthfully, putting your life on the line for the truth—that is the most beautiful thing.”
He believed that art is inseparable from the person who makes it. A few paintings may be faked, he said, but over time, the work inevitably reflects the artist’s dignity and values. In his view, the highest level of artistic achievement lies in personal integrity and humility.
What emotions did you feel standing before Yun Hyong-keun’s work?
Within the silence of color and repetition, you may find yourself face to face with your own inner stillnes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