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남준 - 다다익선 / 직접 촬영 |
백남준 Nam June Paik (1932–2006)
TV를 예술로 만든 사람, 백남준.
그의 이름은 익숙했지만, 정작 그의 작업은 나에게 낯설었다.
아마도 설치미술이라는 장르의 거리감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의 작업을 찬찬히 들여다보기 시작하면서 알게 되었다.
그가 남긴 흔적은 단순한 기술의 진보가 아닌,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에 대한 집요한 질문이었다는 것을.
익숙한 기계로 시작된 낯선 예술
백남준은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로 불리지만,
사실 그는 ‘텔레비전’을 뜯어 고치고, 영상 신호를 비틀고, 끊긴 전파 속에서 예술을 상상하던 실험가에 가까웠다.
1963년 독일 부퍼탈에서 열린 개인전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은
세계 최초의 비디오 아트 전시로 기록된다.
당시 그는 텔레비전을 조작해, 우리가 당연하게 소비하던 기계를 낯선 조형 언어로 전환시켰다.
기술이 아닌 질문을 다루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백남준은 Sony의 휴대용 캠코더 ‘Portapak’을 손에 쥐고
스스로 촬영하고 편집하며 영상 작업을 확장했다.
그에게 기술은 완성된 도구가 아니라, 새로운 감각과 소통을 실험해볼 수 있는 장치였다. 그의 작업은 늘 낯설고 조용한 질문을 품고 있다.
-
TV Buddha (1974)
스스로를 비추는 TV를 응시하는 불상.
기술과 존재, 사유와 반영의 관계를 묻는다. -
Good Morning, Mr. Orwell (1984)
뉴욕과 파리를 위성으로 연결한 방송 프로젝트.
기술이 통제가 아닌 소통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믿음. -
Electronic Superhighway (1995)
미국 50개 주 위를 흐르는 수십 대의 모니터.
디지털 시대, 정체성과 정보가 흘러가는 풍경을 시각화했다.
실험은, 계속된다
백남준은 기술을 통해 예술의 문턱을 낮췄고,
그 안에서 **“누구나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구했다.
그의 예술은 단지 화면 속에 머물지 않았고, 지금 이 시대의 디지털 환경과도 조용히 맞닿아 있다.
“나는 위성의 자유를 믿는다.”
그가 남긴 이 한마디는, 국경과 이념, 장르와 시대를 넘어서는 예술의 본질에 대한 선언처럼 들린다.
지금, 백남준을 만날 수 있는 곳들
-
백남준아트센터 (경기 용인)
실험과 기록, 사유의 공간.
그의 주요 설치 작업과 영상 아카이브가 보존되어 있다.
-
백남준기념관 (서울 종로)
그의 삶과 철학을 조망하는 장소.
조용한 골목길, 그의 흔적을 따라 걸어볼 수 있다.
-
국제 미술관들
휘트니 미술관(뉴욕), 허시혼 미술관(워싱턴 D.C.) 등지에서
여전히 전시되고 있는 백남준의 작업은 ‘동시대’를 새롭게 정의한다.
백남준아트센터 (경기 용인)
실험과 기록, 사유의 공간.
그의 주요 설치 작업과 영상 아카이브가 보존되어 있다.
백남준기념관 (서울 종로)
그의 삶과 철학을 조망하는 장소.
조용한 골목길, 그의 흔적을 따라 걸어볼 수 있다.
국제 미술관들
휘트니 미술관(뉴욕), 허시혼 미술관(워싱턴 D.C.) 등지에서
여전히 전시되고 있는 백남준의 작업은 ‘동시대’를 새롭게 정의한다.
당신에게 TV는 어떤 의미인가요?
백남준은, 가장 일상적인 기술 속에서
예술이 어떻게 시작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람이었다.
Nam June Paik (1932–2006)
He turned televisions into instruments of art—
yet, for a long time, his work felt unfamiliar to me.
Nam June Paik is a name I had long known, but not a world I truly understood.
Perhaps it was the distance created by installation art,
or my own unfamiliarity with media-based practices.
But as I began to slowly explore his works,
I realized his legacy wasn’t just about using technology—
it was about asking how we might remain connected in a rapidly changing world.
Familiar Machines, Unfamiliar Art
Often called the father of video art,
Paik was less a polished technician than a relentless experimenter.
He disassembled TVs, disrupted signals,
and found beauty in distortion and interference.
His 1963 solo exhibitio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in Wuppertal, Germany
is considered the world’s first video art show.
There, Paik transformed the television from a passive consumer device
into a living artistic medium—something to question, touch, and even resist.
Technology Was Just the Beginning
After moving to the U.S., Paik began using Sony’s portable video camera, the Portapak,
shooting and editing his own footage.
But for him, the camera wasn’t a tool for documenting reality—
it was a means of reshaping it.
His artworks carry quiet, poetic questions about perception, identity, and time.
-
TV Buddha (1974)
A Buddha sculpture watches its own image on a live television feed.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presence and reflection—all fold into one moment. -
Good Morning, Mr. Orwell (1984)
A live satellite broadcast connecting New York and Paris,
challenging the dystopian future imagined by George Orwell with creative global dialogue. -
Electronic Superhighway (1995)
A neon map of the U.S. lit with dozens of video monitors—
a visual metaphor for how information and identity move through a digital landscape.
A Legacy of Ongoing Experiments
Paik didn’t just introduce technology to art—he opened art to the world.
He believed in accessibility, in connection, in play.
And most of all, he believed that new art must come from new technology.
His famous line, “I believe in the freedom of satellites,”
remains a symbolic statement of hope:
that art can cross borders, languages, and ideologies.
That it can help us stay human in an age of machines.
Where to Encounter Nam June Paik Today
-
Nam June Paik Art Center (Yongin, South Korea)
A dedicated space to experience his major installations, experimental archives, and philosophy. -
Nam June Paik Memorial House (Seoul)
A quieter space where his personal story and thought can be traced through place. -
Global Museums
His works continue to be shown at institutions such as the Whitney Museum (New York)
and the Hirshhorn Museum (Washington, D.C.),
where they remain as urgent and contemporary as ever.
What does a TV mean to you?
For Paik, even the most ordinary technologies held the potential for reflection,
invention, and human connection.
He didn’t give us answers—he left us with signals,
flashing quietly between noise and meaning.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