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우환 - 관계항 / 직접 촬영 |
이우환 | Lee U Fan
“나는 세상의 근본적인 것들과 관계 맺고 싶다.”
이우환은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현대미술 작가이자 사상가이다. 철학과 예술, 존재와 시간에 대한 깊은 사유를 바탕으로 회화, 조각, 글을 통해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1946년 일본으로 건너가 철학을 공부했고, 이후 일본과 유럽을 오가며 작가와 이론가로서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미적 형식을 넘어서, 존재와 관계, 침묵과 여백, 시간성과 물질성에 대한 사유를 담고 있다.
모노하(もの派)의 중심에서
이우환은 1960년대 말 일본 현대미술사에서 중요한 흐름이었던 '모노하(もの派)' 운동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대표 작가로 활동했다.
‘모노하’는 자연적인 재료와 인공적인 재료가 만나는 순간을 보여주는 예술 경향으로, 이우환은 돌, 철판, 유리, 종이 등 다양한 재료를 그대로 놓거나 최소한의 개입만으로 공간을 구성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재료 자체가 지닌 존재성을 드러내며, 인간과 사물, 세계 사이의 관계를 성찰하게 한다.
‘관계항(Relatum)’ 시리즈
조각 작업의 대표 시리즈인 ‘관계항(Relatum)’은 돌과 철판, 유리 등을 조합한 설치 작품으로, 각각의 사물이 놓인 방식 자체가 공간과의 관계를 형성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기보다는 ‘존재하게 하는 것’에 집중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스스로 대상과 관계를 맺도록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감상자는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함께 존재하는 자’로 변화하게 된다.
여백과 호흡의 회화
회화 시리즈 ‘조응(From Line)’, ‘조응(From Point)’는 반복된 붓질과 점, 선의 흐름으로 이루어진다.
화면은 최소한의 표현으로 가득 채워지지 않고, 여백이 존재하며, 그 여백은 단순한 공백이 아닌 ‘침묵’과 ‘시간’이 머무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하나의 점, 하나의 선은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작가의 호흡과 시간의 흔적이며, 보는 이의 감각과 인식을 열어준다.
철학과 예술의 접점
이우환은 글쓰기 또한 활발하게 했으며, 그의 저작은 단순한 예술론이 아닌 존재론적 사유로 가득하다.
그는 “예술은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존재와 사물, 인간과 자연이 맺는 관계 속에서 예술의 본질을 탐구한다.
세계 속의 이우환
이우환의 작품은 베르사유 궁전, 구겐하임 미술관, 폴 게티 센터, 폼피두 센터 등 세계 주요 미술관과 장소에 전시되었고,
2014년에는 부산에 **‘이우환 공간’**이 개관해 그의 작품 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가 되었다.
그는 한국, 일본, 유럽을 오가며 활동하면서도 동양적인 사유를 현대적인 언어로 풀어내며 독창적인 미학을 구축했다.
사유의 미학
이우환의 작품은 시끄러운 표현보다는 조용한 울림을 지닌다.
그는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보다는 ‘무엇이 존재할 수 있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대상과의 관계 안에서 관람자의 인식과 감각이 깨어나는 순간을 만들어낸다.
그의 예술은 ‘멋짐’이나 ‘형식미’보다는, 그 너머의 시간과 존재, 침묵과 만남을 향한 것이다.
Lee Ufan
“I want to engage with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world.”
Lee Ufan is a globally renowned contemporary artist and philosopher from Korea. His work—spanning painting, sculpture, and writing—is rooted in deep contemplation on existence, time, 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s.
After moving to Japan in 1946, he studied philosophy and later became active as both an artist and theorist across Japan and Europe. His practice extends beyond aesthetic form, exploring themes of presence, relationality, silence, and materiality.
At the heart of Mono-ha
In the late 1960s, Lee Ufan emerged as a leading figure and theorist of Mono-ha, a major movement in Japanese contemporary art.
Mono-ha ("School of Things") focuses on the encounter between natural and industrial materials. Lee’s works often involve placing stone, steel, glass, or paper in minimal arrangements, allowing the materials to speak for themselves.
Rather than manipulating materials to convey a specific message, he reveals their inherent presence and invites the viewer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s among objects, space, and self.
Relatum series
In his sculptural series Relatum, Lee combines natural stones with steel plates or glass panes, creating installations where spatial arrangement becomes a key element.
These works are not about representation but about making presence possible—establishing a field of relation in which the viewer is no longer a passive observer but an active participant in coexistence.
Painting as breath and rhythm
Lee's painting series, such as From Line and From Point, are composed of repeated brushstrokes and rhythmic marks.
The canvas is not filled to its limits; instead, it leaves empty space—not a void, but a space where silence and time reside.
Each point or line is not merely a shape, but a trace of the artist’s breath, rhythm, and presence. The viewer is invited to experience the work not only visually but through a heightened awareness of time and perception.
Where art meets philosophy
Lee Ufan is also a prolific writer. His essays go beyond conventional art theory, delving into ontological questions about being and encounter.
For Lee, art is not about expressing something, but about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matter, and the world.
He once wrote, “Art is not a means of expression, but a way of creating encounters.”
Lee Ufan in the world
Lee’s works have been exhibited at major institutions such as the Palace of Versailles, the Guggenheim Museum, the Getty Center, and the Centre Pompidou.
In 2014, the Lee Ufan Space opened in Busan, Korea—a dedicated venue for experiencing his art in depth.
He has worked across Korea, Japan, and Europe, developing a uniquely resonant visual language that bridges Eastern thought with contemporary art practice.
Aesthetic of contemplation
Lee Ufan’s work does not shout. It resonates quietly.
Instead of asking what to express, he asks what can be allowed to exist.
Through his minimal interventions, he creates moments where the viewer becomes aware of their own presence and the subtle relationality of the world around them.
His art is not about style or flamboyance, but about time, presence, silence, and the gentle unfolding of encounter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