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부터 5월 17일까지 서울 삼청동 PKM 갤러리에서 팝 아티스트 샘바이펜(SAMBYPEN)의 개인전 《LAZY》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작가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며, 현대인의 '게으름'이라는 심리를 주제로 한 신작 페인팅 18점을 선보였습니다 .
전시 개요
전시명: 《LAZY》
기간: 2025년 4월 12일 – 5월 17일
장소: PKM 갤러리 (서울 종로구 삼청로 7길 40)
작가: 샘바이펜 (SAMBYPEN, 본명 김세동)
전시 특징
샘바이펜은 대중문화 속 익숙한 캐릭터와 브랜드를 패러디하여 현대 소비사회의 이미지를 재해석하는 작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게으름'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해야 할 일을 미루며 느끼는 심리적 동요와 무기력함을 표현한 신작들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작가 자신을 투영한 캐릭터 '시한폭탄맨'을 통해 현대인의 내면을 유머러스하게 그려냈습니다 .
주요 작품 및 시리즈
시한폭탄맨: 현대인의 게으름과 그로 인한 감정의 변화를 상징하는 캐릭터로, 다양한 작품 속에서 등장하여 관객과 소통합니다.
Wall 시리즈: 그래피티와 전통 회화 기법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로, 'FAKE'라는 단어를 활용하여 진짜와 가짜의 경계를 탐구합니다
전시 외 콘텐츠
전시 기간 동안 작품 속 도상을 활용한 아트 상품과, 전시 주제에서 영감을 받은 젊은 뮤지션들의 음원이 순차적으로 공개되어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
마무리
《LAZY》 전시는 샘바이펜의 10년간의 작업을 돌아보며, 현대인의 내면을 유쾌하게 풀어낸 전시로 평가받았습니다. 익숙한 이미지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게으름'이라는 감정을 예술로 승화시킨 이번 전시는 많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샘바이펜 전시 정보 링크
From April 12 to May 17, 2025, PKM Gallery in Samcheong-dong, Seoul hosted
LAZY, a solo exhibition by pop artist SAMBYPEN. Celebrating the artist’s 10th anniversary, the exhibition featured 18 new paintings centered on the psychology of modern-day "laziness."
Exhibition Overview
Title: LAZY
Dates: April 12 – May 17, 2025
Venue: PKM Gallery (40, Samcheong-ro 7-gil, Jongno-gu, Seoul)
Artist: SAMBYPEN (Real name: Kim Se-dong)
Exhibition Highlights
SAMBYPEN is known for parodying familiar characters and brands from pop culture to reinterpret the imagery of modern consumer society. In this exhibition, he focused on the theme of "laziness," depicting the emotional unrest and lethargy that come from procrastination. A recurring character, the “Time Bomb Man,” serves as a humorous reflection of the modern individual and their inner struggles.
Key Works and Series
Time Bomb Man: A symbolic figure representing the emotional fluctuations caused by laziness. This character appears throughout the exhibition, offering a direct lin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work and viewers.
Wall Series: A fusion of graffiti and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By using the word “FAKE,” the series explores the boundary between what is real and what is not.
Additional Content
During the exhibition, art merchandise featuring imagery from the works was made available. Music tracks inspired by the exhibition's theme, created by emerging musicians, were also released in sequence, allowing visitors to engage with the exhibition through various sensory experiences.
Conclusion
LAZY offered a witty and insightful look back at SAMBYPEN’s decade-long career, presenting a fresh interpretation of familiar images. By transforming the emotion of "laziness" into art, the exhibition left a lasting impression on many viewers.
about exhibition@ PKM galler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