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특별전 – 조선의 산천, 붓끝에 깃들다
호암미술관 2025 봄 특별전
한국 진경산수화의 거장, 겸재 정선.
그의 눈과 붓이 담아낸 조선의 풍경은 단순한 경치가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감정, 철학, 그리고 자연에 대한 존중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호암미술관에서는
조선 후기 회화를 대표하는 대가, 겸재 정선(1676–1759)의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총 165점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그야말로 ‘진경산수화의 정수’를 직접 마주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전시 정보
-
전시명: 겸재 정선 특별전
-
기간: 2025년 4월 2일(수) ~ 6월 29일(일)
-
장소: 호암미술관 전시실 1, 2관
-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562번길 38
-
문의: 031-320-1801
겸재 정선, 누구인가
정선은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창시자로,
기존의 중국식 이상 산수가 아닌 조선의 실경(實景)을 화폭에 담아낸 화가입니다.
그가 그린 금강산, 인왕산, 한강 풍경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자연과 예술, 그리고 삶에 대한 깊은 울림을 전합니다.
주요 작품 하이라이트
-
인왕제색도 (1751)
비 오는 날 인왕산을 그린 이 작품은
겸재 정선의 대표작으로, 짙은 먹과 섬세한 붓놀림이 돋보입니다.
※ 이 작품은 5월 4일까지 전시됩니다. -
금강전도 (1734)
웅장한 금강산을 장대한 구성으로 펼쳐낸 명작.
화면 가득히 채워진 산세의 힘과 정선 특유의 대담한 구성이 감탄을 자아냅니다.
전시 구성 안내
-
진경에 거닐다
조선의 산하를 직접 보고 그린 정선의 진경산수화 대표작 감상 -
문인화가의 이상
산수 외에도 인물화, 화조화, 사군자 등 정선의 다양한 화풍 조망 -
실경과 상상 사이
실제 풍경에 상상력을 더해 표현한 작품들을 통해
그만의 철학적 시선도 느껴볼 수 있는 섹션
감상 포인트
-
자연을 향한 겸손:
정선의 그림에는 자연을 장식이 아닌 존재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선이 있습니다. -
먹의 농담(濃淡):
화면 속 깊은 산맥, 흩날리는 비, 안개 낀 계곡…
단 하나의 색(먹)으로 표현한 이 풍경의 깊이를 천천히 들여다보세요. -
화폭 너머의 시간성:
300년 전 조선의 누군가가 바라본 그 풍경,
지금의 내가 마주한다는 감각이 이 전시를 더욱 특별하게 만듭니다.
마무리 감상
현대의 바쁜 일상에서
조선의 산천을 느긋하게 그려낸 정선의 붓결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마음이 차분해지고 시선이 넓어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미술 전시가 아닙니다.
자연을 바라보는 법, 시간을 느끼는 법, 그리고 진심으로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을 일깨워주는 시간입니다.
이번 봄, 용인으로 가는 길이 있다면
겸재 정선의 세계를 만나보는 산책을 계획해보는 건 어떨까요?
![]() |
정선 겸재 - 인왕제색도 / 직접 촬영 |
Special Exhibition of Gyeomjae Jeong Seon – Korea’s Mountains on Paper
Spring 2025 at Ho-Am Art Museum
The master of Korean landscape painting, Gyeomjae Jeong Seon,
captured the essence of Joseon's mountains and rivers not through imagination,
but by observing nature itself—brush in hand, heart wide open.
This spring, Ho-Am Art Museum in Yongin, Korea, presents a rare opportunity to experience his legacy up close.
With 165 of his works on display, this large-scale retrospective brings to life the depth and beauty of his artistic world.
Exhibition Details
-
Title: Gyeomjae Jeong Seon Special Exhibition
-
Dates: April 2 (Wed) – June 29 (Sun), 2025
-
Venue: Ho-Am Art Museum, Galleries 1 & 2
-
Location: 38 Everland-ro 562beon-gil, Pogok-eup,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
Contact: +82-31-320-1801
Who Was Gyeomjae Jeong Seon?
Born in 1676, Jeong Seon pioneere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jingyeong sansuhwa),
breaking away from the Chinese style to depict real Korean scenery as he saw it.
His works reflect a deep sensitivity to nature and an appreciation of Korea’s unique terrain and spirit.
Highlighted Works
-
Inwang Jesaekdo (1751)
A powerful depiction of Mount Inwang after rain.
Considered one of Jeong Seon’s masterpieces for its expressive ink strokes and atmospheric depth.
※ On display until May 4 only. -
Panoramic View of Geumgangsan (1734)
A sweeping, grand view of Mount Geumgang.
Celebrated for its dynamic composition and the bold rhythm of its mountain peaks.
Exhibition Sections
-
Walking Through True Landscapes
Explore his core jingyeong-style paintings based on real Korean mountains and rivers. -
The Scholar-Painter’s Ideals
Discover works beyond landscapes—including portraits, flower-and-bird paintings, and calligraphy. -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See how he blended observed scenery with poetic imagination and philosophical insight.
Viewing Highlights
-
Nature as It Is:
Jeong Seon doesn’t romanticize nature—he respects and reveals it. -
The Power of Ink:
With just black ink, he conveys storms, mists, cliffs, and calm valleys.
Watch how light and darkness breathe life into the mountains. -
Timeless Perspective:
A painting seen through Jeong Seon's eyes 300 years ago
now becomes your window into Joseon's world.
Final Thoughts
As you follow the brushstrokes of Jeong Seon,
you may find yourself breathing slower, seeing clearer, and feeling more grounded.
This isn’t just an art exhibition—
it’s a quiet journey into the Korean landscape,
a reflection on how to see, feel, and simply be.
If you're headed toward Yongin this spring,
why not take a quiet detour into the mountains painted with soul?
![]() |
정선 겸재 - 금강 전도 / 직접 촬영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