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고재 갤러리 –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미술의 공간
서울 종로구 삼청동 골목을 걷다 보면, 한옥의 전통미와 현대미술의 감각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공간을 마주하게 된다. 바로 학고재 갤러리다.
1998년에 개관한 학고재는 한국의 전통미술과 현대미술을 잇는 플랫폼으로, 국내외 아티스트들의 깊이 있는 작품을 선보여왔다.
갤러리 이름에 담긴 의미
‘학고재(學古齋)’는 “옛것에서 배운다”는 뜻으로, 전통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술적 해석을 추구하는 공간이라는 철학이 담겨 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
갤러리는 실제 한옥 공간과 현대 건축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전통과 현대가 시각적으로도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공간에서는 한국화, 도자, 설치미술, 회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전시되며, 이우환, 김창열, 이불, 서도호 등 국내 대표 작가뿐 아니라 쿠사마 야요이, 백남준 등 해외 작가의 전시도 진행해왔다.
왜 방문할 만한가
-
한옥 속 현대미술이라는 이색적 체험
-
삼청동 및 인사동 일대 문화 산책과 함께 즐기기 좋은 위치
-
한국 미술계의 흐름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는 큐레이션
-
외국인 관람객에게도 정제된 한국 미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공간
기본 정보
-
위치: 서울 종로구 삼청로 50
-
운영 시간: 화–일요일 10:00–18:00 (월요일 휴관)
-
입장료: 무료
감상 팁
학고재는 내부 촬영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며, 햇살이 드는 한옥 마루와 그림자가 어우러진 공간에서의 한 컷은 그 자체로 하나의 작품처럼 남는다.
Hakgojae Gallery – Where Korean Tradition Meets Contemporary Art
Tucked away in the alleys of Samcheong-dong, Hakgojae Gallery presents a beautiful harmony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t.
Established in 1998, the gallery serves as a bridge between Korea’s artistic heritage and its dynamic modern art scene.
What Does “Hakgojae” Mean?
“Hakgojae (學古齋)” means “to learn from the past,” reflecting the gallery’s mission to reinterpret tradition through contemporary perspectives.
A Unique Space
The gallery is composed of a restored hanok (traditional Korean house) connected with modern architecture.
It provides a unique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 where old and new coexist.
Artists featured include Lee Ufan, Kim Tschang-Yeul, Lee Bul, Do Ho Suh, as well as international names such as Yayoi Kusama and Nam June Paik.
Why Visit
-
Experience contemporary art in a traditional Korean setting
-
Located in a cultural district perfect for walking tours
-
Discover Korean art through thoughtful and balanced curation
-
A meaningful destination for international visitors seeking authentic aesthetics
V
isitor Information
-
Address: 50 Samcheong-ro, Jongno-gu, Seoul
-
Hours: Tuesday to Sunday, 10:00–18:00 (Closed on Mondays)
-
Admission: Free
Viewing Tip
Photography is generally allowed.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 on the hanok floors often creates moments that feel like works of art themselves.
댓글
댓글 쓰기